경제·금융

[산업] 중남미 최대 단일경제블럭 7월탄생..수출타격 우려

오는 7월에 중남미 최대의 단일 경제블록이 탄생한다. 이에 따라 중남미 시장 확보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3일 KOTRA 상파울루 무역관은 남미공동시장(Mercosur)과 안데안공동체(Ancom)가 8년에 걸친 협상 끝에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에 합의했다고 밝혔 다. 메르코수르는 브라질ㆍ아르헨티나ㆍ우루과이ㆍ파라과이, 안데안공동체는 볼리비아ㆍ콜롬비아ㆍ에콰도르ㆍ베네수엘라ㆍ페루를 회원국으로 두고 있다 . 메르코수르와 안데안이 이달 초 FTA 체결에 합의한 데 이어 7월1일 에콰도 르 수도 키토에서 열리는 양쪽 대표자 회담에 맞춰 FTA를 공식 발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협정에 따라 앞으로 10년에 걸쳐 교역품의 80%에 대한 관세를 없앨 계획이며 민감품목인 메르코수르의 철강ㆍ직물ㆍ종이, 안데안의 밀ㆍ대두ㆍ자동차 등은 15년에 걸쳐 무관세화를 실시할 예정이다. 양 시장공동체가 FTA로 하나가 됨에 따라 3억5,000만명의 인구와 8,500억달러의 국내총생산(GDP)을 가진 경제블록이 생겨나 한국의 남미지역 수출에 적지않은 타격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KOTRA의 한 관계자는 “양 지역의 FTA는 미국ㆍ안데안 FTA로 이어져 우리나라의 남미 수출에 적지않은 타격을 줄 것”이라며 “칠레 이외의 중남미 국가들과 FTA를 맺고 현지 투자를 늘리는 등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말했다.손철기자 runiron@sed.co.kr <저작권자ⓒ 한국i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