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기업, 접대비 사용한도 대비 아이디어 골몰

기업들이 정부의 접대비 50만원 제한방침에 따라 전전긍긍하고 있다. 8일 재계에 따르면 대기업 영업ㆍ홍보 등 접대비 지출이 불가피한 부서를 중심으로 접대비를 줄이는 한편 부득이하게 초과할 경우 이를 처리하는 묘안을 짜내고 있다. 대기업 A사의 경우 영업담당 임원이 “접대비 한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골프 접대를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해 담당부서 직원들이 아이디어를 찾고 있다. 이 부서의 한 직원은 “정부가 정한 한도 내에서 골프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영업 비밀상 접대 상대방을 모두 기재하기 어려운 만큼 한도를 초과한 경우를 대비한 편법을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대기업 B사 관계자는 “접대비 사용이 빈번한 부서의 임원과 부서장이 모여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회의를 열기도 했다”며 “골프장이나 유흥업소 중심으로 이뤄졌던 접대방식을 바꾸는 것까지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2~3년 전부터 회사 차원에서 윤리경영을 강조, 고액 영수증 처리가 어려워지자 유흥업소 등에서는 여러 개의 사업자등록을 해놓고 다른 상호로 결제를 해주는 등 편법이 동원되고 있다”며 “접대 손님을 많이 받는 업소에서 먼저 아이디어를 내놓지 않겠냐”고 덧붙였다. 한편 국세청이 기업들이 건당 50만원 이상 접대비를 지출할 경우 접대목적과 상대방을 기재하도록 고시하자, 재계는 사용한도를 건당 100만원으로 현실화해 줄 것을 요청했다. <조영주기자 yjcho@sed.co.kr>

관련기사



조영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