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설비투자 21% 늘어 OECD 1위"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한국의 설비투자 증가율이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27일 우리나라의 2010년 설비투자는 전년보다 21.3%(명목기준) 증가해 비교가 가능한 OECD 국가 23개국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어 에스토니아(14.1%), 미국 (13.1%), 영국(11.5%) 순이었다. 품목별로 보면 지난해 정보기술(IT), 자동차 산업의 수출 확대에 따른 반도체 제조용 기계, 공작기계 등의 투자 확대로 기계류 투자가 26.1% 증가했고, 운송장비투자는 승용차, 트럭 등을 중심으로 6.2%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009년에는 금융위기로 OECD 전체 국가(-19.5%)와 G7 국가(-18.5%)의 설비투자가 20% 가까이 떨어졌지만, 우리나라는 1.2% 감소에 그쳐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투자 감소세를 보였다. 또 최근 3년간 우리나라 설비투자 증가율은 OECDㆍG7 국가 평균보다 높아 기업들이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해 설비투자의 경제성장 기여도는 2.3%포인트로 나타났다”며 “2010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6.2%임을 고려할 때 설비투자가 경제성장의 중추적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총생산에서 설비투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늘어 2006년 9.5%에서 2010년 10.1%로 증가했으며, 전체 설비투자에서 민간설비투자가 96%를 차지했다. 2010년 국내총투자율도 우리나라(29.2%)가 미국(16.1%), 영국(14.7%), 독일(17.5%), 대만(22.0%)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총투자율은 총고정자본형성과 재고를 더한 값을 국민총처분 가능소득으로 나눈 것으로 투자여력 대비 실제 투자를 나타내는 지표다. 영업활동 대비 투자금액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투자안정성 비율은 2009년 131.8%에서 2010년 118.1%로 감소해 영업활동에 따른 수익 증가보다 투자 증가가 더 컸다고 전경련은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