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12억 印 유통시장, 빗장 풀렸다

외국인직접투자 완화… 월마트·까르푸 등 선점경쟁 치열해질듯<br>규모 4500억弗 달해


그동안 외국에 문호를 개방하지 않던 인도의 유통시장이 드디어 빗장을 푼다. 인구 12억명, 4,500억 달러 규모의 인도 유통시장이 열리게 됨에 따라 이를 차지하기 위한 글로벌 유통 체인들의 치열한 각축전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인도 정부가 외국인직접투자(FDI) 규정을 완화해 소매부문에 대한 투자한도를 대폭 늘리는 방안을 공식 발표했다고 전했다. K.V. 토머스 인도 식품장관은 "대형슈퍼마켓이나 백화점 등 '다품종 소매'(multi brand ratail) 부문에서 외국인 지분참여를 최대 51%까지 허용한다"고 밝혔다. 인도는 지금까지 다품종 소매시장에서 외국인 직접투자를 금지해 왔다. 이와 함께 나이키 등 단일 브랜드만을 판매하는 소매점(single brand retail)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최대 51%까지로 제한했던 외국인투자 상한선을 철폐하고 100% 투자를 허용하기로 했다. FT는 "인도의 엄격한 FDI규제에 묶여 도매분야에만 진출했던 글로벌 유통 체인들이 앞으로는 인도 소비자들에게 직접 물건을 팔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인도의 소매유통시장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약 4,500억 달러로 추정되며, 오는 2018년에는 1조3,000억 달러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막대한 잠재력을 지닌 인도 시장 개방 조치에 지금까지 인도 시장에 공을 들여온 월마트, 테스코, 까르푸 등 세계적인 유통체인들은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히고 있다. 세계 최대 유통업체인 월마트 등은 소매시장 개방을 노리고 일찌감치 도매 분야에 진출, 외국계 기업의 지분 상한선을 완화해 달라고 인도 정부에 꾸준한 로비 활동을 펼쳐 왔다. 레즈 제인 바르티월마트의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조치로 인도 유통업계의 판도가 바뀔 것"이라며 "소비자들의 쇼핑 방식이 변하는 것은 물론 공급망도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지금까지 자국 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폐쇄적인 유통 정책을 고수해 왔다. 하지만 내년 주요 지방 선거를 앞두고 열악한 유통시스템을 개혁해 물가 상승압력을 낮춰 표심을 잡기 위해 이번 조치를 단행한 것으로 FT는 해석했다. 다만 정부는 글로벌 유통업체의 진출이 인도 유통업계에 종사해 온 소상공인들의 생활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반대 여론을 의식, 인도 진출 업체에 대해 국내 조달 및 고용보호를 위한 최소 투자유지 등의 조건을 내걸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