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유로존 "파장 최대한 줄이자" 안간힘

■ 무디스, 그리스 신용등급 3단계 강등… 사실상 디폴트<br>추가 구제안 마련에 잇단 디폴트 선언에도 침착<br>민간 참여 범위·속도따라 그리스 운명 달라질듯


유로존은 그리스가 사실상 디폴트상태로 강등되자 "이미 예상했던 일"이라면서도 시장에 미칠 파장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그리스 추가 구제안에 합의한 대로 민간부문의 참여가 어느 정도의 범위와 속도를 낼 것인지에 따라 향후 그리스의 운명이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피치는 성명을 통해 "국채 교환 프로그램의 민간 채권단 참여 제의가 끝나는 시점에 그리스 국가 신용 등급을 '제한적 디폴트'로 하향 조정하고, 이 프로그램에 적용된 국채는 '디폴트' 등급으로 낮출 것"이라고 밝혔다. 유로존은 신용평가사들의 잇단 '디폴트' 선언에 애써 침착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 21일 유로존 정상들이 합의한 그리스 2차 구제지원 프로그램에서도 신용평가사들의 디폴트 선언에 대한 고민의 흔적들이 나타나 있다. 그리스의 국가신용등급이 일시적으로 디폴트(채무불이행) 등급으로 떨어지는 위험을 무릅쓰고라도 민간채권단의 손실분담 원칙을 고수해 유로존 내 재정위기 확산을 막겠다는 것이다. 신용강등이 문제가 아니라 신속히 그리스 재정위기 사태를 막겠다는 의도에서다. S & P는 이달 초 그리스에 대한 민간채권단의 롤오버(차환)은 'SD(부분적 디폴트)' 등급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음에도 민간채권단이 총 500억 유로의 손실분담 참여를 결정한 것은 짧은 시간 내에 그리스 재정위기를 확실히 매듭지어야 한다는 유로존 내 공감대 때문이다. 그리스가 디폴트 등급으로 강등될 경우 그리스 은행들이 유럽중앙은행(ECB)로부터 자금줄이 끊어질 우려도 제기되고 있지만 이를 미리 짐작한 듯 유로존은 그리스에 대한 국가보증까지 서겠다며 나서고 있다. 여기에 민간채권단 참여도 그리스가 마지막이라고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고 있다. 헤르만 반롬푀이 EU 상임의장은 "그리스 상황은 예외적"이라며 "민간채권단 손실분담 참여는 그리스를 처음이자 마지막 사례로 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유럽연합(EU)의 한 고위 관계자도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민간 채권단 참여로 그리스의 '선별적 디폴트'가 기정사실 화됐기 때문에 그 충격을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지원의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며 "신용평가기관들이 예고했던 대로 잇따라 디폴트를 선언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투심(投心)'이다. 그리스에 대한 추가 지원 프로그램은 애초 예상을 뛰어넘는 규모라는 점에서는 유로존 재정 위기 해결에 긍정적이지만 민간채권단 손실분담에 대한 구체적인 방식도 아직 정해지지 않은 탓에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유로존 정상들이 민간채권단 참여는 그리스가 마지막이라고 안심시켰지만, 이들 국가 국채의 투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신용평가사들이 신용등급을 변경할 때 가장 중시하는 채무상환능력의 변화에 어떤 판단을 내릴지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려워 신용강등이 가져올 파장에 대해 유로존 내에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로이터는 EU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 "유로존이 민간 채권단이 갖고 있는 그리스 채권을 새로 발행하는 장기 채권으로 교환하는 작업이 이달 말과 다음달 초에 걸쳐 신속히 진행할 것"이라며 "이는 선별적 디폴트에 따른 후유증을 줄이기 위한 선택"이라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