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구제역 매몰지 71곳 침출수 우려…4곳 중 1곳

“내년 3월까지 사후조치 완료..주변 지하수 영향없어”

구제역 가축 매몰지 4곳 중 1곳은 침출수 유출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매몰지 주변 300m 이내의 지하수 관정에 대한 수질조사 결과에서는 침출수에 따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는 전국 가축 매몰지 300곳을 선정해 분기별로 환경영향조사를 한 결과 71곳은 침출수 유출 가능성이 높고, 58곳은 지속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환경부는 가축매몰지 중 침출수 유출의혹이 제기된 매몰지, 대규모 매몰지, 하천인근 취약 매몰지 등 300곳을 선정해 5m 이내 관측정과 내ㆍ외부 침출수, 지하수 특성, 수질 및 매립가스 등을 조사했다. 유출 가능성이 큰 71곳을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33곳으로 가장 많고, 경북(12곳), 강원(8곳), 충남(7곳), 충북(5곳), 경남(3곳), 전남(2곳), 인천(1곳) 등의 순이었다. 171곳은 침출수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됐다. 환경부는 이러한 결과를 지자체에 통보해 내년 3월까지 매몰지 34곳은 이설(완료 22, 진행 3, 계획9)토록 하고 13곳은 차수벽 설치 등 정비 보강, 24곳은 침출수 수거 조치를 각각 취하도록 했다. 환경부는 또 국립환경과학원을 통해 매몰지 주변 300m 이내 있는 지하수 관정에 대한 수질을 조사한 결과 3분기 기준 전체 8천81곳 중 침출수 영향이 확인된 곳은 없다고 밝혔다. 3분의 1이 조금 넘는 2,917곳의 지하수 관정이 지하수 수질기준을 초과했지만 이는 축산폐수, 비료, 퇴비 등 매몰지 이외 오염원에 의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아울러 상수원 상류 및 문제 우려 매몰지 주변 지하수 이용관정 1,000곳에 대한 하반기 조사에서 침출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분원성대장균(186곳), 대장균(105곳), 클로스트리디움(12곳), 노로바이러스(19곳), 엔테로바이러스(19곳), 살모넬라(9곳) 등이 검출됐다. 이와 관련해 환경부는 수질 기준을 초과한 지하수에 대해 음용 및 사용중지, 상수도 보급 등 먹는물 안전대책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