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박근혜 대통령 취임-취임사로 본 경제정책] 중기 좌절케 하는 불공정 행위 근절할 것

■ 경제민주화<br>금산분리·순환출자 금지 빨라질듯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취임사를 통해 '경제민주화'를 다시 강조하면서 금산분리나 순환출자 같은 핵심 공약의 이행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지난 21일 국정과제 자료집을 발표하면서 경제민주화 용어를 삭제해 의지가 약해진 것 아니냐는 논란에 휩싸였다.

박 대통령은 이날 경제민주화가 이뤄져야 창조경제가 꽃을 피울 수 있다고 거듭 피력했다. 공정한 시장질서가 확립돼야 국민이 희망을 갖고 땀 흘려 일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경제에 창조정신과 활력이 깃든다는 논리다. 경제민주화는 뿌리에, 창조경제는 꽃에 각각 비유한 셈이다.

그는 "열심히 노력하면 누구나 일어설 수 있도록 중소기업 육성정책을 펼쳐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경제의 중요한 목표"라면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을 좌절하게 하는 각종 불공정행위를 모두 근절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일 새누리당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이 경제민주화를 언급하면서 각종 오해를 상당 부분 불식할 수 있게 됐다"고 평했다. 앞서 경제민주화의 '전도사'로 통하는 김종인 전 새누리당 중앙선대위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은 22일 "인수위 인사 중 경제민주화의 개념을 아는 사람이 없어 그럴 수(국정목표에서 경제민주화 삭제)밖에 없었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박 대통령이 용어 논란에 종지부를 찍으면서 경제민주화의 항목별 실행시기에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정권 초기부터 관련 입법 혹은 법 개정 작업이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우선 대기업집단 계열회사 간 신규 순환출자 금지 조항 신설의 연내 실행이 유력하다. 인수위에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았던 류성걸 새누리당 의원은 그동안 "대기업 신규 출자 금지와 관련한 사안은 가능한 빨리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해왔다.

신규 순환출자가 금지되면 삼성ㆍ현대차ㆍLGㆍSK 등 대기업의 대주주는 계열사의 지분을 더 이상 늘릴 수 없게 된다. 기존 순환출자 고리를 강화하기 위한 추가 출자도 신규 순환출자로 간주, 금지하기로 해 기업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기업집단의 금산분리 강화 실행시기도 관심이다. 박근혜 정부는 국정과제 자료집을 통해 재벌 금융회사의 비금융 계열사에 대한 지분 행사를 5%로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삼성 금융 계열사들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 8.79% 중 5%를 넘는 초과분에 대해서는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게 하는 구조다. 실행시기를 못박지는 않았으나 빨리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대형 유통업체의 골목상권 진출을 제재하는 '사업조정 일시정지명령제' 도입과 지배주주의 횡령 등 부정행위에 대해 법 집행을 강화하는 것도 관심을 받는 주요 정책이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