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사법연수생 취업률 3년 연속 50% 밑돌아

607명 중 284명만 진로 정해…작년과 비슷한 수준

20일 사법연수원을 수료한 43기 연수생 가운데 군 복무 예정자를 제외한 607명 중 284명만 직장을 정해 취업률이 46.8%에 그친것으로 나타났다.

수료일 기준으로 연수생의 취업률이 50%를 밑돈 것은 지난 2012년 41기 이후 3년째다.


취업률은 2011년 56.1%에서 2012년 40.9%로 뚝 떨어져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작년 취업률은 46.8%로 올해와 비슷했다.

군 입대를 앞둔 179명을 제외한 43기 연수생의 진로는 변호사가 137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중 107명이 로펌행을 택했다.

또 46명이 법원 재판연구원(로클럭)을, 40명이 검사를 각각 지원했다. 선발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공공기관 32명, 일반기업 24명이 뒤를 이었다.


이날 오후 경기도 고양시 사법연수원에서 열린 수료식에는 양승태 대법원장, 황교안 법무부 장관, 위철환 대한변호사협회장 등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양승태 대법원장은 “법조 규모는 2만 명에 육박할 정도로 급격히 팽창하고 있고, 법률시장의 단계적 개방으로 외국 변호사들이 국내 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했다”며 “위기 속에서 기회를 보는 긍정적이고 진취적인 자세로 대처하면 더 큰 성공을 이룰 수 있다”고 밝혔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은 “법조 직역의 경쟁이 치열해졌다고 하더라도 전문성을 키우고 활동 영역을 넓혀 간다면 새 법조인의 미래는 밝다”며 “법을 필요로 하는 분야를 찾아서 전문 역량을 기르고 국민에게 다가가 고충을 해결해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위철환 대한변호사협회장도 “돈을 따를 것이 아니라 진정 흥미와 열정을 느끼는 일을 찾기를 바란다”며 “젊음의 패기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그 곳에서 길을 만들라”고 조언했다.

수료식에서는 2년 합산 최고 성적을 받은 이준상(24)씨가 대법원장상을 수상했다. 장민주(26)씨는 법무부장관상, 서민경(27·여)씨는 대한변호사협회장상을 각각 받았다.

민일영 대법관의 아들 민경호씨 등 법조인 자녀 21명이 수료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