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경제 축 3040세대가 전체 3분의2… '한국 허리' 부실해졌다

[개인 구제금융 신청 봇물]<br>과도한 빚에 실업까지 맞물려 가계부채 대란 새 뇌관 부상<br>금융권까지 도미노 부실 우려


경기침체의 골이 깊어지면서 구제금융을 신청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신용회복위원회 명동 상담소에 상담을 받기 위해 연체자들이 대기하고 있다. 서울경제DB

경기침체의 그늘이 곳곳에서 드러나지만 개중에도 구제금융 신청은 침체의 골이 깊어지거나 장기화할 때 드러나는 전형적인 현상이다. 올 들어 개인 워크아웃이나 프리워크아웃이 늘어나는 것이 단적인 예다. 지난 2008년 말 글로벌 위기 이후 급증했던 구제금융 신청이 이듬해 다소 줄어드는 듯하더니 위기가 길어지면서 다시 구제의 손길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급증세로 돌아선 것이다. 최근 조사 결과에서 더욱 주목할 부분은 '경제의 허리'라 할 수 있는 30ㆍ40대 신청자가 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선거 등에서 '2040'이 분노를 표출하는 것도 이런 경제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구제금융 신청 급증은 추후 가계부채 문제가 터질 수 있다는 징조라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경제의 허리, 30ㆍ40대의 몰락=프리워크아웃과 워크아웃 신청 현황을 보면 3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 올 들어 지난 9월까지 30대의 프리워크아웃 신청은 3,756건으로 전체(9,826건)의 38.2%로 가장 높았다. 40대는 2,952건으로 30%를 점유했다. 개인 워크아웃도 비슷하다. 9월까지 연령대별로 가장 많은 집단은 40대(2만293건)로 전체(5만8,273건)의 34.8%에 이르렀다. 30대의 워크아웃 신청도 1만9,060건으로 전체의 32.7%에 달했다. 30ㆍ40대의 경우 경제활동인구의 주요 축을 이루고 있고 국내 소비심리를 견인한다는 측면에서 심각성이 더한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은행 입장에서도 젊은 층에서 채무불이행이 많이 증가하는 것은 결코 좋은 신호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과도한 가계부채ㆍ실업 등이 원인=개인 부실이 늘어나는 것은 기존의 가계부채가 지나치게 많은데다 신규수입은 크게 늘지 않아서다. 올해 1ㆍ4분기 사상 처음으로 800조원을 넘긴 가계부채 규모는 9월 말 기준 892조5,000억원까지 증가했다. 특히 연소득 대비 대출잔액 비중이 400% 이상이거나 담보가액에 대한 대출잔액 비율(강남 33%, 강남 제외 서울 40%, 수도권 49%, 지방 50% 이상)이 높은 '부채상환능력 취약계층'이 전체 주택담보대출자의 26.6%에 달하고 있다. 금융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올해 들어 프리워크아웃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경기가 그만큼 좋지 않다는 반증"이라며 "기존 가계부채가 많은데다 경기하락 등으로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신용회복을 신청하는 이들이 늘어나는 것 같다"고 전했다. 올 1월부터 10월 말까지 프리워크아웃 신청 건수는 1만1,304건으로 전년 동기(5,455건)의 두 배가 넘는다. 프리워크아웃 동향은 가계부실을 가늠할 수 있는 계측기로 신청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가계부실 현실화가 임박했다는 증거라고 금융권 관계자들은 말한다. ◇금융권 연쇄적 부실 우려=돈을 갚지 못해 손을 드는 이들이 많이 나오면 결국 금융사들도 손실을 입을 수밖에 없다. 개인이 구제금융을 신청하면 은행은 이자를 일부 탕감해줘야 하고 10년에서 20년까지 장기로 돈을 나눠 갚게 해줘야 한다. 이마저도 제대로 안 되면 손실은 전부 금융사가 떠안아야 한다. 개인부실이 금융사 부실로 전이되는 것이다. 실제로 은행권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10월 말 현재 0.75%로 전달에 비해 0.04%포인트 상승했다. 신용카드 연체율도 3월 말 1.63%에서 9월 말 1.91%로 상승했다. 경기침체의 그늘이 구제금융 신청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다시 금융권의 부실을 확대하는 모습이 그려지고 있는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