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영화 리뷰] 허브

세파에 찌든 현대인 마음 울리는<br>'정신지체소녀'의 희망메시지


영화 '허브'는 '포레스트 검프', '말아톤' 등 정신지체 장애우들의 꿈과 인생을 다룬 영화들과 같은 맥. 순수한 영혼을 가진 인물이 온갖 고초를 겪으면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모습을 담는 이런 내용은 가족 영화의 영원한 고전이다. 한 점 욕심 없이 세상을 투명하게 바라보는 그들의 시각을 통해 세파에 찌든 현대인들은 적지 않은 마음의 울림을 경험하기도 한다. '허브' 또한 정신지체 장애 소녀 상은(강혜정)이 첫사랑에 빠지고 엄마의 죽음을 경험하는 과정을 통해 세상에 교훈을 주고자 한다. 주인공인 상은은 몸은 20살이지만 정신연령은 7살에 머문 소녀. 그녀 옆에는 혼자 꽃집을 운영하며 애지중지 자신을 키워주는 엄마 현숙(배종옥)과 엄마의 친구 미자(이미영), 그녀의 딸 영란이 있다. 한편으로는 서로 티격태격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자전거타기 같이 홀로서기를 위해 필요한 생활방식을 배우면서 두 모녀는 살아간다. 그러던 상은에게 어느날 의무경찰 종범(정경호)이 나타난다. 20살 상은의 겉모습만 보고 그녀에게 접근한 것. 종범을 꿈속의 왕자님이라고 생각하는 상은은 처음으로 엄마 이외의 사람을 따르고 상은이 장애인임을 알고 점점 멀리하던 종범도 그녀의 순수함에 이내 마음을 연다. 이렇게 두 모녀의 삶과 상은의 첫사랑이야기로 홈드라마처럼 예쁘게 진행되던 영화는 중반 이후 드러난 비극으로 커다란 변화를 맞는다. 현숙이 청천벽력 같은 암 선고를 받게 되는 것. 그녀는 상은이 혼자서도 잘 살 수 있도록 이별준비를 하고, 영화는 점점 비극적 결말로 달려간다. 영화가 바라보는 세상의 모습은 '다섯개의 시선' 등의 인권영화나 심지어 '말아톤' 등과도 다르다. 영화 '허브'에 묘사된 세상은 이보다 한결 따뜻하다. 영화 속에서 현숙과 상은, 미자, 영란 등 네 명의 여자로만 이루어진 기묘한 공동체는 서로 공감해주고 어루만져주면서 장애를 극복하는 새로운 방식을 보여준다. 상은의 주변 사람들은 '누가 바보라고 부르면 콱 깨물어 버려라'라고 말할지언정 '세상은 무섭고 냉혹한 곳이다'라고 말하지 않는다. 영화 속 인물들은 모두 세상을 착하게 보고 착하게 산다. 세상을 극복해야 하는 냉혹한 대상으로 설정하고 이를 헤쳐나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여타 장애영화와는 다른 미덕이다. 영화가 지나치게 '착함'을 지향한 나머지 가장 중요한 리얼리티를 잃어버렸다는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희망이라는 일관된 결론을 향해가는 과정에서 영화는 종종 감정의 과잉을 노출하고 이 때문에 드라마는 현실감을 잃곤 한다. 특히 이는 영화 중반 현숙의 병이 드러난 후에 두드러진다. 색다른 시각을 가진 장애영화가 흔한 신파영화로 전락하는 아쉬운 순간이다. 배우들의 연기는 모두 훌륭하다. 배종옥과 강혜정의 실력은 '폭력써클'로 주목 받았던 정경호의 풋풋한 연기도 좋다. 다만 지나치게 '애어른스러운' 영화 속 아역들의 모습은 부담스럽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