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울산시 산업단지정책 "갈팡질팡"

매곡·외국인공단 분양 저조에 유치업종 변경

울산시가 분양이 극히 저조한 매곡산업단지와 외국인전용공단 등에 대해 뒤늦게 유치업종변경에 나서는가 하면 기반시설 미비로 기존 업체들의 기업활동에 큰 지장을 주고 있는 달천농공단지는 되레 확장을 검토하는 등 산업정책이 중심을 못잡고 있다. 시의 이 같은 행보는 막대한 예산으로 조성된 산업단지들이 제대로 분양이 않되는데다 관내 기업들은 지가가 싼 인근 경주 등지로 속속 빠져나가는 등 사면초가에 몰렸기 때문이다. 17일 울산시에 따르면 자동차부품전용공단으로 올 연말 완공 예정인 북구 매곡산업단지에 대해 울산시는 최근 2차 분양공고를 내고 입주 업종을 기존 자동차 부품업에서 기계 등 전 업종으로 확대했다. 시는 또 지난 2002년 완공돼 입주를 시작한 남구 부곡동 외국인전용공단도 외국업체로 제한된 입주조건을 완화, 국내 업체들의 입주가 가능하도록 최근 조례를 개정했다. 시가 이처럼 유치업종 변경에 뒤늦게 나선 것은 매곡산업단지의 경우 당초 엔진과 첨단부품을 중심으로 입주요건을 한정한 바람에 총 6만5,000여평의 부지 가운데 현재 11개 업체만 입주계약을 체결, 분양율이 31%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외국인전용공단도 지금까지 겨우 5개 외국기업만 입주, 총 5만7,000여평에 달하는 공단의 절반 이상이 수년째 방치된 것도 주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런 가운데 울산시는 현재 10만평 규모에 총 200여개 업체가 입주한 북구 달천농공단지 인근에 추가로 5만평 규모의 제2 달천 농공단지 조성을 추진, 수요도 없이 공단만 늘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더욱이 달천농공단지는 산업로~농공단지간 진입도로가 왕복 2차선에 불과하고 인근에 신축중인 1만여세대의 아파트촌과도 도로사용이 중복, 극심한 기반시설 부족난에 허덕이는 실정이어서 시의 추가 공단조성 계획이 주민과 기존 입주업체들의 반발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지역 경제전문가들은 “울산시가 공단조성을 놓고 갈팡질팡하는 것은 공단 조성시 반드시 제고 되야 할 입주 수요 예측이 제대로 안되는 등 산업단지 정책의 총체적 부실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