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세 번 실패한 우리금융 민영화 이번엔 끝내라

12조8,000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이 다시 시동을 걸었다. 벌써 네번째 시도다. 지난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해마다 매각을 추진했으나 번번이 수포로 돌아갔다.


금융당국이 누구보다 더 잘 알겠지만 과거 세번의 매각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2010년 사실상 분리매각 방침을 정했던 1차 민영화 시도는 경영권 프리미엄 집착에 발목이 잡혔다. 일괄매각 방식을 동원했던 2차 매각 때는 최소입찰 규모로 지분 30% 이상 인수를 조건으로 내세운 게 화근이라면 화근이다. 가뜩이나 정권 말이라 추진동력마저 떨어졌던 3차 매각조건도 2차 때와 별로 다르지 않았다.

관련기사



정부는 그동안 우리금융 민영화의 3대 원칙으로 조기민영화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금융산업 발전을 내세웠다. 하지만 세 차례 입찰에서 단 한번도 복수의 인수 희망자가 나오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조기 민영화도, 혈세회수 극대화도 실패했다. 주인 찾아주기가 표류하는 사이 관치와 내치ㆍ정치로 얼룩진 우리금융의 속병은 깊어질 대로 깊어졌다. 자산규모는 다른 3대 금융지주와 엇비슷하지만 시가총액이 신한금융지주의 반 토막인 것은 우리금융지주의 추락한 경쟁력을 여실히 보여준다.

금융당국은 이번에 지주 산하 14개 자회사를 3개 그룹으로 나눠 순차 분리 매각하는 방식을 택했다. 지방은행과 증권ㆍ보험사를 먼저 매각, 인수자의 자금부담을 덜어줘 잠재적 인수자 범위를 확대하자는 취지다. 그렇게 될지는 좀 더 두고 봐야겠지만 일단 유효입찰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과거 방식보다 진일보했다.

기업 인수합병(M&A)시장에서 매각실패가 잦아지면 매물가치는 떨어지게 마련이다. 그런 측면에서 다른 어떤 원칙보다 우리은행 매각 가능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3대 원칙 모두를 충족시키는 데 집착하다가는 과거의 우를 되풀이할 소지가 다분하다. 이번에 반드시 끝내겠다는 비상한 각오로 임하되 입찰의 세부 조건들은 융통성 있게 제시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