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권 "4분기 가계 신용위험 높아질것"

16개銀 여신총괄담당자, 전망지수 13으로 다시 높여

은행들은 대출금리 상승으로 금융비용 부담이 늘면서 올 4ㆍ4분기에 가계 부문의 신용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9일 한국은행이 국내 16개 은행의 여신총괄담당 책임자들을 면담 조사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올해 3ㆍ4분기 가계의 신용위험지수는 9를 나타낸 데 이어 4ㆍ4분기 신용위험 전망지수는 13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위험지수가 ‘플러스(+)’이면 신용위험도가 높아졌다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는 응답보다 많다는 것을, 지수가 ‘마이너스(-)’면 그 반대를 뜻한다. 가계의 신용위험지수는 지난해 4ㆍ4분기 ‘0’에서 올해 1ㆍ4분기 9, 2ㆍ4분기 16으로 높아졌으며 3ㆍ4분기에 9로 하락했으나 4ㆍ4분기에는 다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가계의 신용위험도가 상승할 것으로 보는 은행들이 늘어난 것은 대출금리 상승에다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중소기업의 3ㆍ4분기 신용위험지수는 9로 전 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4ㆍ4분기 전망지수는 13으로 높아졌다. 이는 기업 수익성 하락과 경기둔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이 소액으로 분산돼 있어 신용위험 증가 정도가 크게 부담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출수요 측면에서는 가계의 경우 주택가격 전망이 엇갈리면서 자금수요에 별다른 변화가 없을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은 수익성 하락에 따른 유동성 부족이 예상되면서 3ㆍ4분기 대출수요지수가 19를 나타낸 데 이어 4ㆍ4분기 대출수요 전망지수가 25로 상승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