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남북, 대화 국면으로 진입 초읽기

정부 “남북적십자회담 개최 원칙적 동의”

남북 군사실무회담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어 우리 정부가 북측이 제의한 적십자회담도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남북관계가 급속히 대화국면으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적십자회담은 고위급군사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크고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움직임도 본격화되는 등 대화 국면에 대비한 우리 정부의 본격적인 채비라는 관측도 있다. 정부는 9일 북측이 제의한 남북 적십자회담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내용의 대북 전통문을 발송했다. 통일부 이종주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오늘 오전 10시20분께 대한적십자사 총재 명의로 북한 조선적십자회 앞으로 남북 적십자회담 개최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전통문을 판문점 적십자채널을 통해 보냈다”고 밝혔다. 이 부대변인은 “(적십자회담의) 구체적인 일자와 장소는 남북 고위급 군사회담 이후에 쌍방이 협의해 확정해 나갈 것을 제의한다는 입장을 (전통문을 통해)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실제 적십자회담 개최 여부는 남북 고위급회담 이후에 남북관계 상황 등을 보면서 추가로 협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적십자회담 원칙적 동의는 북측이 지난 1월10일과 2월1일 적십자회담 개최를 제의해온 데 따른 화답이다. 적십자회담 시기는 남북 고위급군사회담 이후 적십자회담이 실제 열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남북은 지난해 10월 개성에서 적십자회담을 개최했지만, 우리 정부의 이산가족상봉 정례화 촉구에 대해 북측이 쌀 50만 톤과 비료 30만 톤 지원과 금강산관광 재개 등을 요구하면서 성과를 내지 못했다. 이후 남북은 지난해 11월25일 적십자회담 개최에 합의했지만, 북측의 연평도 포격도발로 무기한 연기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