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 교통량 작년보다 5.9% 줄어

유가인상등 영향…중앙차로 구간은 20%이상

서울의 교통량이 지난 7월부터 시행된 서울시의 대중교통체계 개편과 주중 승용차를 하루 쉬게 하는 요일제, 유가인상 등으로 인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서울시와 서울경찰청이 공동으로 작성한 ‘중앙버스전용차로 시행 구간 교통량 조사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월 조사된 하루 평균 교통량은 807만6,000여대로 지난해 9월 조사된 하루 평균 855만3,000여대에 비해 5.9% 감소했다. 하루 평균 통행량이 도심의 경우 작년 125만3,000여대에서 올해 113만9,000여대로 9.1%나 줄었고 간선도로도 작년 289만여대에서 올해 271만2,000여대로 6.3% 감소했다. 특히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된 구간에서 교통량이 현저하게 줄었다. 수색ㆍ성산로의 경우 10만9,000여대에서 8만4,000여대로 23.3%, 도봉ㆍ미아로는 9만3,000여대에서 6만7,000여대로 27.2%, 강남대로는 11만1,000여대에서 8만1,000여대로 26.3% 각각 작년에 비해 올해 감소했다. 반면 수색ㆍ성산로의 우회도로인 강변북로와 서오릉로는 각각 2.0%와 2.9% 소폭 증가했으며 도봉ㆍ미아로의 우회도로인 동일로는 4.3% 늘어났다. 대중교통 이용자는 올해 10월 기준으로 하루 평균 1,015만5,000여명으로 작년의 9월 기준으로 906만3,000여명에 비해 12% 증가했다. 지하철은 하루 평균 426만3,000여명에서 471만5,000여명으로 10.6%, 버스는 480만여명에서 544만여명으로 13.3% 각각 늘었다. 주 5일제 시행으로 인해 요일별 교통량에도 큰 변화가 나타났다. 하루 평균 교통량을 100으로 정했을 때 도심 기준으로 작년에는 수요일(107)의 교통량이 가장 많았고 이어 목요일(106), 화요일(105), 금요일(102), 월ㆍ토요일(100), 일요일(80) 순이었지만, 올해는 금요일(106), 목요일(105), 화ㆍ수요일(104), 토요일(100), 월요일(99), 일요일(82) 순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