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금리 정말 올리려나

기대 인플레레율 1년만에 최고..부동산 전망 2개월째 개선

소비자들의 체감 경기는 다소 내려가고 있지만, 물가를 바라보는 불안의 모습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아직은 미심쩍은 구석이 있지만, 11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조금씩 높아지는 분위기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동향지수’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CSI)는 108로 지난 7월 112에서 8월 110, 9월 109에 이어 3개월째 하락했다. CSI는 경제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로, 100을 넘으면 경기를 좋게 보는 응답자가 많고 100 아래이면 그 반대다. 현재 경기판단 CSI는 9월 98에서 10월 92로, 향후 경기전망 CSI는 108에서 104로 낮아졌다. 생활형편 전망 CSI는 2포인트 떨어진 99로 작년 4월(95) 이후 처음으로 100 이하를 기록했다. 물가수준 전망 CSI는 141로 9월보다 3포인트 떨어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향후 1년간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한 달 전보다 0.2%포인트 오른 3.4%로 작년 10월(3.4%)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는 한은의 물가 상승률 관리 목표치(3%)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소비자들 사이에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가 확산하고 있다는 뜻이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지난 23일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가 참석한 경주 회의의 폐막 직후 기자 간담회를 갖고 환율전쟁의 해법 도출로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이 줄었다며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 바 있다. 한편 부동산 시장을 바라보는 눈도 조금은 낙관적인 톤으로 바뀌었다. 주택ㆍ상가가치 전망 CSI는 8월 94에서 9월 99, 10월 102로 상승하며 지난 5월(101) 이후 처음으로 100을 넘어섰다. 토지ㆍ임야가치 전망 CSI도 같은 기간 93에서 96, 99로 높아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