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국채 수익률 연일 사상최저

안전자산에 돈 몰려… 10년물 0.04%P 내려 2.69%


전세계적인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에 대한 투자 수요가 몰려 국채 수익률이 연일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전날보다 0.04%포인트 떨어진 2.69%를 기록했다. 전날에는 수익률이 한때 2.65%까지 기록해 1962년 관련 기록이 집계된 이후 사상 최저치를 보이기도 했다. 30년만기 국채 수익률도 0.03%포인트 떨어진 3.19%에까지 거래돼 미국이 정례 채권 경매를 시작한 1977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3년물 국채 수익률도 이날 1.10%까지 떨어졌다. 이처럼 국채 수익률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는 것은 국채를 사려는 수요가 많아지면서 수익률과 반대로 가는 국채 가격이 최고치로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1월이후 미 국채 가격은 연일 상승세를 타고 있다. 국채에 투자가 몰리는 것은 미국이 이미 경기침체에 접어들었고, 앞으로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미 중앙은행이 시중 실세금리 인하를 목적으로 장기물 국채 등의 매입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전날 정책금리를 추가로 인하하는 것이 "확실히 실행 가능성이 있지만 현시점에서 전통적인 금리정책을 통한 경기회복 방법에는 분명히 한계가 있다"면서 금리가 0% 아래로 내려갈 수 없는 만큼 유동성 공급을 위한 대안으로 장기 채권을 매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었다. 채권 중개회사인 IACP의 전략가인 폴 호만은 블룸버그통신에 "투자자들이 위험 회피를 위해 국채를 사고 있다"며 "경제가 회복되기 시작하는 신호가 분명히 나타나기 전까지는 국채를 팔려는 사람이 없을 것"이라고 말해 국채에 대한 수요우위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올해 초만 해도 안전자산으로 각광받았던 금은 금융위기의 심화 속에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2월 인도분 금값은 1일 지난주 종가보다 42.20달러나 떨어지며 온스당 776.80달러를 기록한 뒤 2일에는 6.50달러 오른 783.30달러에 거래됐다. 지난 3월 온스당 1,033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때에 비해 25% 가까이 떨어진 가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