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지 가득 묻어나는 따뜻한 웃음

인물화가 김호석 개인전 "가족을 그리려고 한 게 아니고 삶의 표정을 그리려 했다. 겸재의 인왕재색도가 인왕산을 그리려고 한 게 아니라 비 갠 뒤의 생생한 세계를 그리려고 한 것이듯이 혈연적인 감정을 그리려고 한 게 아니고 삶 속에서 사람들이 보여주는 진실한 표정을 포착해 보고 싶었다." 한국 인물화의 독자적 경지를 개척해온 김호석(45)씨가 '열아홉 번의 농담'이라는 제목으로 서울 종로구 견지동 동산방화랑에서 열리는 개인전을 갖는다. 18일까지. 이번 전시는 마흔 둘의 젊은 나이로 '올해의 작가'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던 작가가 1999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된 '올해의 작가'전 이후 3년만에 마련됐다. 이번 개인전에서는 그 이후 제작한 작품 19점을 소개한다. '위기' '탈주전야' 등 해학과 풍자로 삶의 진실을 담아낸 작품들이다. 전시 제목은 웃음을 자아내는 19가지 이야기라는 뜻이다. 작품의 내용은 생활 그 자체에서 나온다. 등장인물은 작가의 가족이다. 허연 수염밖에 없는 노인은 경기도 이촌에서 농사를 짓는 그의 아버지이고, 치열한 세파를 넘어 내달리는 사이에 얻은 새치가 중년임을 선언하는 여인은 그의 아내다. 봉긋한 젖가슴에서 처녀티가 완연한 소녀와 어깨판이 떡 벌어져 병아리 시절을 졸업한 소년은 그의 딸과 아들이다. 작품전의 제목으로 '농담'을 사용한 작가는 "내 안에서 솟구치는 '웃음'은 평범한 정서적 균형이 깨트려지는 얘기치 않은 자리에 떨어지는 물방울과 같이 느껴진다."고 말한다. 김호석은 종이의 뒷부분에 색을 칠해 앞면에 그 효과가 돋아나게 하는 배채기법을 적극 전개하는 작가로 유명하다. 전통초상화나 불화에서 사용됐던 방법으로 근대 이후 서양화 기법이 상륙하면서 거의 자취를감췄다. 김씨는 물감으로 수십 차례 배채함으로써 은근하고 따뜻한 분위기를 얻어내고 있다. 이 기법은 김씨가 직접 만든 한지와 어울려 효과를 극대화한다. (02)733-5877. 이용웅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