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부산·인제 의과대, 피하지방줄기세포로 혈관근육세포 분화 성공

부산대 김재호·인제대 한진 교수<br>심혈관질환 발병원인 규명


김재호(40ㆍ사진 왼쪽) 부산대 의대 교수팀과 한진(42ㆍ오른쪽) 인제대 의대 교수팀은 7일 인체 피하지방에서 분리한 줄기세포를 혈관근육세포로 분화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혈관근육세포는 혈관의 수축과 이완을 담당해 혈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로 비정상적 증식 등 문제가 발생할 경우 동맥경화 등 심혈관질환의 원인이 된다. 연구진은 동맥경화와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 치료에 활용하기 위해 환자의 지방조직에서 분리한 성체줄기세포로 혈관근육세포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환자 자신의 세포를 이용했기 때문에 혈관근육세포를 질병치료에 이용해도 면역거부 반응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진은 또 혈액 내에 존재하는 물질인 ‘스핑고실포스포릴콜린(sphingosylphosphorylcholine)’이 지방줄기세포를 혈관근육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작용원리도 알아냈다. 김 교수는 “지방줄기세포를 혈관근육세포로 분화를 유발하는 물질과 세포 신호전달 기전을 밝혀냈다”면서 “동맥경화나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의 발병원인을 밝히고 심혈관질환의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및 인공혈관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