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나이 들어 자녀와 살고 싶어" 10% 불과

서울시 15세 이상 설문


나이 들어 자녀와 함께 살기를 희망하는 사람은 10명 중 1명에 불과 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시내 2만가구(15세 이상 4만7,010명)를 방문 조사한 결과 나이 들어 혼자 살기 어려울 때 희망하는 동거 형태로 '아들과 함께 살고 싶다'는 응답은 7.0%에 불과했다. '딸과 함께 살고 싶다'는 응답은 3.8%로 자녀와 함께 살고 싶어하는 응답자는 10.8%에 그쳤다. 아들과 함께 살고 싶다는 응답은 지난 2009년의 10.1%에 비해 하락한 반면 딸과 함께 살고 싶다는 응답은 2009년의 3.0%보다 소폭 상승해 눈길을 끌었다. 나이 들어 가장 희망하는 거주형태는 '자녀와 가까운 곳에서 혼자 살기'로 전체의 41.8%를 차지했으며 '노인전용 공간 거주'를 꼽은 응답자도 40.5%에 달했다. 자녀와 가까운 곳에서 혼자 살기를 희망한 사람은 전년의 45.4%에 비해 줄어든 반면 노인전용 공간 거주를 선호한 사람은 전년의 34.4%보다 6.1%포인트나 늘었다. 자녀와 가까운 곳에서 혼자 살기를 희망한 사람은 연령이 높고 소득이 낮을수록 많았으며 노인전용 공간에서 거주하길 희망한 사람은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을수록 많았다. '친구와 함께 살고 싶다'는 응답은 전년의 6.8%에서 소폭 하락한 6.5%로 조사됐다. 노인들 중 '정기적인 사회활동을 한다'는 응답자는 61.9%로 집계됐으며 활동형태는 노인정(26.3%), 종교단체 모임(17.7%), 복지관 노인교실(12.7%)등의 순이었다. 노인들의 월평균 의료비는 12만6,000원으로 조사됐고 87.0%가 지난 1년간 1회 이상의 예방접종을 받았다고 답했다. 서울시에 사는 65세 이상 노인 중 70.1%는 월 소득이 아예 없거나 100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가 소득이 전혀 없다고 답했으며 50만원 미만이 27.7%, 50만~100만원 미만이 22.4%였다. 또 100만~150만원 미만은 13.1%, 150만~200만원 미만은 7.5%, 200만~250만원 미만은 3.0%, 250만~300만원 미만은 2.9%, 300만원 이상은 3.3% 등이었다. 또 65세 이상 남성은 월평균 13만2,000원을 의료비로 지출했으며 여성은 11만원을 의료비로 사용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