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철강기업 흥망사/경영자과욕… 정치외풍… ‘부도’ 점철/철강산업

◎호경기에 섣불리 과잉설비투자 몰락/창업자수성 포철·강원산업외 ‘전무’지난 1월 부도를 내고 쓰러진 한보철강의 3자인수가 성사될 경우 한보의 주인은 네번째 바뀌게 된다. 한보철강의 원조는 지난 58년 설립된 극동철강. 이 회사는 지난 76년 금호그룹으로 넘어갔다가 80년에 한보에 인수됐다. 삼미특수강도 올해초 몸체의 절반 이상을 포항제철에 매각하는 등 살아나기 위해 몸부림을 쳤으나 지난 3월 부도를 내고 새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지난해말 부도를 냈던 환영철강은 신호그룹으로 경영권이 넘어갔다. 기아특수강 역시 그룹에 막대한 타격을 준 채 법정관리를 신청해 놓고 있다. 부채가 1조3천억원에 달하는 이 회사를 섣불리 사겠다는 기업이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지만 주거래은행인 산업은행은 「어쨌든 3자 인수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기아특수강 역시 지난 55년 설립됐던 대한중기공업의 후신이다. 기아그룹이 지난 90년 산업은행으로부터 사들였다. 「철강산업에 영생은 없는가.」 올들어 한보철강 부도 이후 굵직굵직한 철강업체들이 잇달아 부도폭탄을 맞고 쓰러지자 이같은 탄식이 나오고 있다. 국내 철강업체들의 역사를 들여다보면 설립 이후 창업자가 계속 경영을 하고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오너가 한번 바뀐 것은 기본이다. 인천제철 연합철강 동부제강 등은 두번이나 주인이 바뀌었다. 이는 철강업체들의 부심이 그만큼 심했다는 증거이며 자동차나 조선 가전 등 다른 업종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사례다. 실제로 국내 최대의 전기로업체인 인천제철의 경우 원래 뿌리는 지난 53년 공기업으로 출발했던 대한중공업이다. 이 회사는 지난 70년 민영화되면서 인천제철에 흡수됐다. 그리고 현대그룹이 78년 인천제철을 인수, 세번째 주인이 됐다. 이 회사는 지금 현대그룹의 핵심 계열사로 자리를 굳히고 있다. 현대의 숙원사업인 일관제철사업 추진에 주도적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한보주인 4번 교체 현재 동국제강그룹의 계열사로 돼 있는 연합철강도 원래 주인은 창업주 권철현씨다. 지난 62년 설립된 이 회사는 77년 국제그룹에 인수됐다가 85년 국제그룹 자체가 공중분해되면서 주인이 다시 바뀌는 운명을 맞는다. 창업주 권씨는 70년대 말 외화도피 혐의로 구속되면서 연합철강의 경영권을 잃었고 이를 넘겨받았던 국제그룹의 양정모회장은 5공 정권에 밉보였다는 이유로 부도를 맞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당시 정부는 연합철강을 부실기업 정리대상에 포함시켜 동국제강에 경영권을 넘겼지만 노조의 반대 등으로 진통을 겪었다. 결국 포철이 1년6개월간 위탁경영을 맡았다가 동국제강으로 되넘겨주는 곡절을 거치고서야 제자리를 잡았다. 아직 권철현씨가 2대주주로 넘아 이 회사의 증자 등 주요의사결정에 무시못할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긴 하지만 이 회사도 주인이 두번이나 바뀐 꼴이다. 포철의 위탁경영까지 포함할 경우 세번이나 바뀐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동부그룹 계열인 동부제강도 연합철강과 비슷한 과정을 거치며 주인이 바뀌었다. 이 회사는 지난 55년 주창균씨가 설립한 일신제강이었다. 일신은 지난 82년 장령자사건에 휘말려 부도를 냈다. 당시 자금난을 겪었던 이 회사는 사채시장의 돈을 끌어다 쓰다가 장령자씨의 돈에까자 손을 댄 것이 화근이었다. 일신제강의 주거래은행이었던 상업은행은 이 회사를 포철이 인수해줄 것을 요청했고 포철은 당시 안병화부사장 등을 파견, 동진제강으로 이름을 바꿔 위탁경영을 했다. 그리고 2년 3개월간의 포철 위탁경영을 거쳐 84년 동부그룹으로 넘어갔다. 일신제강은 지난 79년 단일 수출품목으로 1억달러 수출탑을 수상했고 부도 당시 자산규모도 3천억원을 넘는 견실한 회사였다. 그러나 동부는 이 회사의 자산가치를 당시에 8백억원 정도 쳐주고 인수했다. 한때 튼튼한 철강회사로 평가받던 일신제강이 하루 아침에 무너져 마침내 동부로 넘어간 것은 철강업계의 시각에서 볼 때 가히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삼미인수 연말추진 동국제강의 계열사인 한국철강도 주인이 바뀐 경우다. 지난 57년 세워진 이 회사는 경영난에 시달리다 72년 동국제강으로 넘어갔다. 동국제강이 현재의 철강전문그룹으로서의 면모를 갖춘 것도 한국철강과 연합철강 등을 계열사로 거느리게 됐기 때문이다. 기아특수강은 원래 55년 설립된 대한중기공업이란 회사였는데 지난 90년 기아그룹에 인수됐다. 그러나 기아그룹이 무너지면서 특수강을 포기, 법정관리를 신청함에 따라 자산실사를 거쳐 3자인수가 진행될 전망이다. 세번째 주인을 기다리고 있는 셈이다. 현대자동차와 대우자동차가 관심을 갖고 있지만 과다한 부채 때문에 정작 인수에는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삼미특수강 역시 극심한 자금난에 따라 포철에 봉강 및 강관 등 사업의 절반을 팔았으나 부채를 견디지 못하고 지난 3월 부도를 냈다. 포철과 인천제철 등이 인수를 위한 눈치작전에 돌입, 올해말께 인수절차가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결국 포항제철을 제외한 국내 주요 민간 철강업체 가운데 창업자가 현재까지 경영권을 가지고 있는 회사는 지난 53년과 54년에 각각 설립된 강원산업과 동국제강 정도로 볼 수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철강업체들의 이같은 몰락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최고경영자의 능력부족을 꼽고 있다. 과욕으로 무모한 투자를 감행하거나 소극적으로 일관하다가 사업을 스스로 망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경기가 좋을 때는 불같이 일어나지만 그렇다고 섣불리 손을 댔다가는 큰 코 다치는 업종이 철강업이란 것이다. 실제로 한보철강의 정태수 총회장은 부산의 극동철강을 인수했다가 때마침 불붙은 철근경기에 힘입어 큰돈을 벌자 철강업에 재미를 붙였다는 것이 정설이다. 정총회장은 극동철강을 헐어내고 그 자리에 아파트를 지을 작정이었는데 당시 신도시 개발붐이 일면서 철근값이 급등하자 아파트 계획을 취소하고 아예 당진에 대규모 제철소를 짓겠다는 야심을 불태우게 됐던 것. 그러나 그의 야무진 꿈은 무리한 투자에 따른 지나치게 많은 은행 빚으로 결국 비극으로 끝나고 말았다.<한상복 기자>

관련기사



한상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