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 자구안 채권단거부

현대 자구안 채권단거부8일이후로 최종 발표 연기 정부와 채권단은 정주영 전 명예회장의 차 지분매각과 알맹이없는 지배구조개편이 포함된 현대의 자구책을 거부했다. 정부와 채권단은 당초 요구했던 3개항이 모두 포함된 확실한 자구계획을 내도록 요구했고 이에따라 현대는 내용을 보강해 8일이후 다시 자구책을 제시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위원회 고위관계자는 5일 현대가 건설의 실효성있는 자구계획이나 문제경영진퇴진 등 정부의 요구를 무시한채 정주영 전 명예회장의 차 지분매각과 알맹이없는 지배구조개편안을 골자로 하는 자구책을 내놔 채권단이 이를 거부했으며 따라서 8일 이후 보다 진전된 자구책이 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현대가 채권단에 제시한 자구책에는 건설의 유동성문제 해결을 위한 알짜자산매각 등이 포함되지않았고 문제경영진퇴진에 대해서도 명확한 의사를 표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현대가 개각분위기에 편승해 내용없는 자구책으로 어물쩡 시장의 개혁요구를 회피하려하는 것은 용인할 수 없으며 시간이 좀 더 걸리더라도 정부와 채권단의 요구를 완전히 수용하는 확실한 자구책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정부는 현대의 자구책에 건설 유동성문제 해소를 위한 정주영씨의 차 지분매각외에 전자.상선 등 보유지분이나 건설보유 알짜 계열사주식 등 돈되는 자산을 매각해야하며 문제경영진퇴진, 중공업.전자 등의 조기 계열분리일정 등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현대가 이같은 요구조건을 외면한채 버틸 경우 현대건설을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나 법정관리에 넣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금감위 관계자는 현대의 문제는 특정 재벌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경제의 문제가 만큼 시장이 인정할수 있는 철저한 개혁이 이뤄져야하며 필요하다면 현대건설의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통해서라도 이를 관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현기자 입력시간 2000/08/05 11:53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