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JP 김 대통령에 내각제 개헌 제의/‘청와대와 교감’ 관심 증폭

◎이회창 대표 「대통합정치」와도 일맥상통/지지율 부진 타개위한 궁여지책 분석도자민련 김종필 총재의 내각제 개헌을 위한 「정계개편」관련 발언으로 정치권이 크게 술렁이고 있다. 특히 이번 JP 발언이 청와대측과 사전 교감이 있었느냐에 대해 국민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총재는 5일 기자들과 만나 『김영삼 대통령이 국가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대국적 차원에서 정계개편을 시도하면 적극 협조할 것』이라며 『김대통령이 15대 대선 이전에 내각제 개헌을 결심한다면 대선을 헌법이 규정한 시한 만큼 연기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JP의 이같은 제의는 최근 자신에 대한 국민적 지지율이 한자릿수에 그치고 있을 뿐아니라 대선 때까지 상승 기미마저 거의 없어 「내각제」를 무기로 정국 주도권을 잡기 위한 궁여지책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더구나 김총재의 발언은 두 아들 병역 파문으로 단독집권이 어려운 처지에 놓인 신한국당 이회창대표가 주창한 「대통합정치」와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김총재가 설령 청와대측과 사전교감이 없었다해도 후보교체론의 공론화 등으로 혼란스런 신한국당 내부와 정계개편에 대한 미련이 남아있는 김영삼대통령을 조심스럽게 자극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조홍래 청와대정무수석과 신한국당 강삼재 사무총장은 이에대해 『김영삼대통령은 일찍이 헌법사항에 대해 손대지 않겠다고 말한 바 있다』며 『이같은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일축했다.그러나 청와대 한 고위관계자는 『최근 여론조사 결과를 볼 때 신한국당의 정권 재창출이 어려운 만큼 내각제 수용문제를 포함한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지 않겠느냐』며 정계개편 가능성에 대해 깊은 여운을 남겼다. DJP 후보단일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국민회의는 공식 반응을 자제하면서도 대체로 불쾌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결국 이번 JP 발언은 안양 만안 보선에서의 승리를 계기로 내각제라는 연결고리를 통해 YS의 중대결단을 촉구한 것이어서 그 결과가 정치권에 적지않은 파장을 불러일으킬 전망이다.<황인선 기자>

관련기사



황인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