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수도권 보상지 주변 땅값도 주춤

파주 운정1ㆍ용인 흥덕등 수兆대 보상금불구<br>규제강화ㆍ경기 불확실성 여파 신규수요 급감


대규모 보상이 진행 중인 수도권 택지지구 주변의 땅값 오름세가 주춤해지고 있다. 올들어 파주 운정1지구와 용인 흥덕 등 대형 택지지구의 수용토지에 대해 2조원 가량의 보상금이 풀리면서 주변 땅값이 크게 올랐지만 최근 수요감소로 상승세가 꺾였다. 130만평 규모의 파주 운정1지구는 총 1조6,000억원 규모의 보상금 중 80% 정도가 현재 보상을 마쳤다. 지난 5월부터 보상이 시작돼 등기 이전되는 수용토지에 현금보상이 이뤄졌다. 그 동안 1조원 이상의 현금이 풀려 대체농지 등 토지수요가 크게 늘었지만 최근 신규 투자가 급감하면서 거래도 끊겼다. 이곳 동문공인의 한 관계자는 “많게는 수십억원의 보상금을 받은 땅 주인도 대체토지를 구하기보다 우선 현금보유를 선호하고 있다”며 “토지거래허가제 등 각종 규제와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땅 투자를 꺼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택지지구 주변처럼 개발호재를 갖추고 있는데다 행정수도 이전 무산으로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땅들도 움직임이 없다. 더욱이 전답 등 농지와 임야는 내년 시행될 예정인 종합부동산세의 과세대상에서 제외되고 0.07%의 낮은 세율로 분리과세되는 이점이 있지만 이 역시 수요자들을 끌어들이지 못하고 있다. 파주 교하ㆍ금촌지구 주변의 동패리, 문발리 일대의 도로변 전답의 경우 상반기 20~30% 급상승하며 평당 60만~70만원선에 달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토지보상이 이뤄진 지난 7~9월 이후에도 가격은 제자리다. 입지여건이 뒤지지만 평당 30만원에 이르던 교하읍 일대의 절대농지(농업진흥지역) 역시 25만원선 아래로 떨어졌다. 수원과 인접한 용인 흥덕지구(65만평)는 6월부터 시작된 토지보상이 80%(4,500억원) 정도 마무리됐다. 수용토지 주인들은 수원 영통ㆍ이의동 등 일대 개발로 인근의 마땅한 대체토지를 구하지 못해 멀리 이천ㆍ안성ㆍ평택 등으로 물색지역을 넓히고 있다. 하지만 최근 2~3년간 수도권 일대 관리지역 땅값 거품이 심화되면서 적극적인 토지매입에 나서는 경우는 드물다. 토지공사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 3ㆍ4분기까지 평택ㆍ이천 지역의 논 가격은 각 15.4%, 12.5%나 뛰어올랐다. 용인 기흥읍 일대 P공인 관계자는 “흥덕지구의 수용토지 중 40% 정도는 서울 사람이 주인이며 이미 상당한 투자수익을 올렸다”면서 “부동산 보유에 대한 규제 강도가 높아지면서 세 부담이 적은 농지에도 투자를 회피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