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롱아이언 잘 치는 법] 타격순간 몸무게 왼쪽 엉덩이에 싣도록

그래서 동서를 막론하고 『롱아이언은 집에 놓고 다녀라』라는 말이 금언처럼 통하고 있다. 그러나 제아무리 어려운 롱아이언샷이라고 하더라도 연습앞에서는 장사가 없는 법이다. 롱아이언 공략요령을 소개한다.▲잘 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져라 3, 4번 등 롱아이언의 클럽만 보면 겁을 먹는 사람들이 많다. 헤드가 작고 페이스는 수직에 가깝기 때문에 부담이 든다. 때문에 타격때 볼의 뒤쪽 지면을 때리게 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워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자신있는 6, 7번 등 미들 아이언을 잡았다고 생각하면 샷하기가 훨씬 쉽다. 이렇게 생각하면 거리에 대한 부담감을 없앴을 수 있고 어깨에 힘도 덜 들어간다. 천천히 리듬을 타면서 스윙하면 된다. ▲백스윙을 길게 끌어라 롱아이언 샷때 미스를 하는 이유중 하나는 샤프트 길이를 의식하지 않고 백스윙을 하기 때문이다. 클럽이 길어지면 백스윙은 그만큼 낮고 길게 해야 한다. 그런데 클럽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성급하게 업라이트한 상태로 들어 올리는 경향이 많다. 이는 스윙의 큰 흐름으로 샷을 하지 못하고 힘으로만 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3번 아이언을 잡고 스윙을 하지만 가파르게 백스윙을 하면 5, 6번 아이언을 잡은 것처럼 스윙아크가 크게 줄어들게 된다. 이것 자체가 스윙에 대한 리듬과 밸런스를 깨트려 미스샷을 유발하게 한다. ▲쓸어치는 스윙을 하라 롱아이언 샷은 클럽 특성상 우드 샷처럼 스윙궤도의 최저점을 막 지나 올라가는 지점에서 타점(상향타격)이 이뤄지도록 돼 있다. 때문에 찍어치기보다는 수평으로 쓸어치는 플랫(평행)스윙을 구사해야 한다. 따라서 플랫스윙을 구사하는 골퍼는 별문제가 없겠지만 업라이트 스윙을 하는 골퍼는 스윙궤도를 수정해야 한다. 업라이트 스윙은 기본적으로 찍어칠 수 있는 스윙궤도로 백스윙의 초기단계인 테이크 백때 아웃사이드로 나갈 확률이 높다. 즉 스윙 톱이 너무 지나치게 가파르고 높게 형성될 수 있는 여지를 많이 안고 있다는 얘기다. 이는 하향타격을 하기 쉬운 스윙궤도로 플랫한 상향타격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사이드-인으로 궤도를 조정해 줘야 한다. ▲타격순간 몸무게의 80%를 왼쪽 엉덩이에 실어라 스윙의 톱 동작때 몸무게의 75%는 몸의 오른쪽에 실려 있어야 한다. 이때 오른쪽 엉덩이는 오른발 뒤꿈치 위쪽으로 돌아가 있는게 이상적이다. 이어 몸무게를 왼쪽 엉덩이로 옮겨주며 다운스윙을 시작한다. 이때 머리가 표적방향으로 움직여서는 안된다. 이렇게 타격 순간으로 접어들었을 때 몸무게의 80%정도는 왼쪽 엉덩이 위로 실려 있어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왼쪽 히프의 회전이다. 히프의 회전이 왼쪽 밖으로 밀려나면 안되고 몸통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안쪽으로 재빠르게 돌려줘야 임팩트 때 클럽 페이스가 열려맞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임팩트때 머리축을 볼 뒤쪽에 둬라 시작만큼 중요한 것이 마무리다. 그런데 이게 잘 안된다. 이유는 만병의 근원인 「빨리 보고 싶어하는 마음」때문이다. 임팩트때 머리축을 볼 뒤쪽에 남겨두지 못하고 머리가 먼저 나가게 되면 왼쪽 다리가 펴지면서 오른쪽 어깨가 앞으로 쏠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정확한 임팩트를 만들어 낼 수 없다. 축이 무너지먼 원심력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파워도 잃게 되고 거리도 줄게 된다. 야구에서 홈런을 치는 선수들을 잘 살펴보면 머리축이 모두 볼 뒤쪽에 남아 있다. 또 롱아이언 샷때 거리가 나지 않는 것은 자신감없이 다운스윙을 시작함으로써 왼팔이 움츠러들어서 제대로 리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