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금리인상 발언에 대해서는 "금리인상 시기를 염두에 둔 것은 정말 아니었다"며 "하지만 시장에서 가까이 왔구나 받아들였다면 일찍 (깜빡이를) 켰을 수도 있다"고 시장 소통과정에서 발생한 실수를 일부 인정했다.
이 총재는 지난 13일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이날 내정된 최 후보자에 대해 "개인적인 관계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 총재(70학번)는 최 후보자(75학번)의 연대 상경대 5년 선배다. 그는 "기획재정위원회 활동 당시 국회 업무보고에서 먼발치에서 뵌 적은 있지만 그 이상은 없다"며 "제 이름도 총재가 되고 아셨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획재정부와 한은의 정책공조에 대해서는 "서로의 역할을 존중해주면서 경제흐름의 인식에 대한 간극은 줄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대신 "서로의 역할을 존중해줘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지난달과 달리 12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모호해진 화법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올해 5월 "기준금리 방향은 인상 쪽"이라고 단언했던 그는 이달에는 "6월 지표를 보고 판단하겠다"며 판단을 다음달로 유보했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오른쪽 깜빡이를 켜고 직진하느냐'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이 총재는 "기본적으로 인식이 바뀐 것은 별로 없다"며 "일관성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데 시장과의 소통이 생각보다 어렵다"고 털어놓았다. 자신의 의도가 시장에 뜻대로 먹히지 않더라는 것이다. 그는 "4월 전망대로 성장경로가 갔을 때 (금리) 방향이 이렇다는 뜻이었다"면서도 "깜빡이를 왜 이렇게 일찍 켰냐고 하던데 그렇게 받아들였다면 일찍 켠 셈"이라고 실수를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하기도 했다.
김중수 총재 시절 임명된 부총재보들에 대해서는 "임기 전에 나가라고 할 생각은 없다. (외부에) 좋은 기회가 있으면 나갈 수 있겠지만 '나가라'고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실장급 인사에 대해서는 "국실장들의 정책역량을 키우기 위해 일종의 순환보직이 필요하다"며 "국실 이하는 전적으로 국실장에게 맡길 것"이라고 확인했다.
한은의 금융안정 책무에 대해서는 일부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 총재는 "2011년 한은법 개정 이후 정책수단이 확보되기도 전에 책무를 받았다"며 "현재 주어진 권한 내에서 최선의 길은 금융 시스템 내의 리스크 요인을 사전에 찾아내 경고하는 것이라 현재로서는 여기에 가장 역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리정책 외에 지급준비율 등 다른 정책수단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그는 "지준율을 내리면 은행수지를 보전해주는 데 그칠 뿐 경기대응으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대출정책은 현재도 보완적으로 쓰는 중이고 한시라도 필요할 때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학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토마 피케티의 '자본론'에 대해서는 "취임 후 현안업무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분배에 관한 연구를 지시했다"며 "소득 불평등 해소는 유효수요를 높여 성장잠재력을 확충하고 인적자원 양성에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서는 신중론을 확인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좀 신중해야 한다"며 "가계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소득을 높이는 것이 시간이 걸리더라도 가장 바람직한 해결방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