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동아시아 IT정상회담 열린다

韓ㆍ中ㆍ日 장관회담서 陳정통 제안 합의<br>사무국 역할 하게될 협의체도 설치키로

내년부터 한ㆍ중ㆍ일 3개국 정상이 참석하는 ‘동아시아 정보통신기술 정상회의(East Asia ICT Summit)’가 열린다. 한ㆍ중ㆍ일 3국 정보통신 장관은 26일 일본 삿포로 로이튼 삿포로호텔에서 ‘제3차 한중일IT장관회의’를 갖고 정보통신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 장관회의를 정보통신 상설협의체인 ‘동아시아 정보통신기술 정상회의(East Asia ICT Summit)’로 격상해 운영키로 합의했다. 이날 회담에는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과 중국의 왕쉬뚱(王旭東) 신식산업부 장관, 일본의 아소 타로(麻生太郞) 총무성 장관이 참석했다. 이번 협의체 구성 합의는 진대제 장관이 제안해 이뤄진 것으로, 세계 IT시장 선도를 위해 정상회의와 함께 IT장관회의, 국장급 분야별 실무협의체, 포럼 등 정부ㆍ연구기관ㆍ민간기업을 아우르는 포괄적이고 전방위적인 IT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이번 합의로 3국은 한국의 테스트베드환경, 일본의 기술력, 중국의 시장을 결합, 미국 유럽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져 있는 첨단분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진 장관은 “이번 협의체 구성 합의로 정부뿐 아니 뿐 아니라 3국 민간기업간의 협력도 대폭 강화하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특히 이를 통해 동북아 3국이 세계 정보통신 시장의 위상도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3국 장관은 또 동아시아 ICT 정상회의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실질적 사무국 기능을 맡게 될 ‘국제협력협의체’(International Cooperation Working Group)를 설치하기로 했다. 협의체에는 각국 국장급 공무원과 연구기관 전문가가 참여, 수시로 발생하는 3국간 협력과제를 발굴하는 한편 각 분야별 협력활동을 통합 조정하게 된다. 이와 함께 3국 장관은 지난해 회의에서 약정한 7개 분야 외에 RFID(무선주파수인식)ㆍ센서네트워크 실무협의체를 신설키로 했다. 이 협의체는 서로 다른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3국간 RFID의 플랫폼의 호환성을 확보해 3국간 무역을 촉진하고 물류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정통부 형태근 정보통신협력국장은 “3국간 RFID 플랫폼 호환을 통해 무역을 촉진시키는 것은 물론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USN)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정부가 추진중인 지능기반사회 구축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3국 장관은 지난해 9월 제주도에서 열린 제2차회담에서 차세대이동통신, 차세대인터넷, 디지털TV방송 등 7개 분야의 교류협력을 강화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추진할 실무협의체 구성 등을 골자로 하는 ‘한중일 3국간 IT분야 협력에 관한 약정(Arragement)’을 체결한 바 있다. /삿포로(일본)=공동취재단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