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신용등급 'D의 공포' 해소하려면 과잉자산 구조조정 서둘러야"

한국신용평가 지적

중견 건설회사들의 유동성 위기가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건설업계가 신용등급 'D의 공포'를 해소하려면 과거 일본의 사례를 거울 삼아 과잉자산에 대한 구조조정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신용등급 D는 신용도 위험평가에서 퇴출에 해당하는 등급이다. 한국신용평가는 10일 '과거 일본 건설사 위기가 남긴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국내 건설회사들의 구조조정이 지연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미분양 주택 등 과잉 투자된 부동산을 적극적으로 정리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정혁진 한신평 수석연구원은 "지난 2008년 이후 국내 건설사들의 상황은 1990년대 일본 건설사들이 겪은 유동성 위기와 여러 가지 면에서 유사하다"며 "당시 일본 건설사들은 레버리지 확대를 통해 부동산 용지에 무리하게 투자하거나 시행사 또는 관계사에 지급보증ㆍ자금대여 등 재무적 지원을 해 유동성 위기에 처했다"고 말했다. 일본 건설업계는 1997년 7월 일본 내 매출순위 34위인 도카이흥업의 회생절차 신청을 시작으로 잇달아 부도가 발생했고 1년 뒤에는 건설업체의 도산 건수가 1만7,497건에 이르렀다. 일본 부동산 가격이 하락세를 보인 것은 자산버블이 꺼진 1991년부터다. 하지만 건설업체들은 향후 자산가격 회복을 기대하고 과잉 투자된 부동산을 적극적으로 정리하지 않다가 결국 연쇄 도산이라는 사태에 직면했다. 과잉 투자→레버리지 부담→보유자산의 부실심화→건설투자 위축 →유동성 위기 등 부실의 연쇄고리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국내 건설사들 역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분양 물량이 급속히 늘어나고 예정된 사업이 줄줄이 지연됨에 따라 내부 현금 유동성 및 프로젝트파이낸싱(PF) 지급보증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정 수석연구원은 "일본 건설사들이 경험한 자산부실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할인분양 등을 통한 미분양 물량 해소 및 예정사업 정리가 필요하다"며 "특히 지방 사업장의 경우 사업지연과 금리상승에 따른 지속적인 사업성 악화에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