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무질서한 길거리 간판 지자체가 정비 나선다

성동구 내년 6억원 들여 시범구역 대거 정리<br>원주 등은 불법광고물 단속에 주민참여 유도

‘무질서의 상징’이 되다시피한 거리간판 정비사업에 시ㆍ군ㆍ구 등 지방자치단체들이 적극 나섰다. 4일 행정자치부와 각 지자체에 따르면 서울 성동구는 올해 ‘좋은 간판 만들기’를 구 역점사업으로 선정, 도시 미관 향상을 위한 옥외광고물 정비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 중이다. 성동구는 사업비 3,000만원을 들여 간판 글꼴을 개발한 데 이어 지난 10월부터 각종 영업 관련 인허가 신고시 반드시 광고물 관련 부서를 들러 행정지도를 받게 하고 있다. 성동구는 특히 내년 1년간 ‘한양대 길(460m)’을 ‘시범가로 정비구역’으로 정하고 6억원을 들여 116개소의 점포들의 간판을 대거 정리하기로 했다. 경기도 파주시는 주요 도로변에 무분별하게 난립해 있는 지주간판들을 친환경 도시 이미지에 맞게 교체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올해 2억3,000만원을 들여 지주간판 표준 모델을 선정, 이를 바탕으로 무질서하게 길거리에 서 있는 소규모 간판들을 표준통합안내 표지판으로 바꾸는 사업을 펼쳤다. 불법 광고물 단속에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경우도 있다. 강원도 원주시는 20여명의 옥외광고업자들로 구성된 ‘자율봉사대’를 설치, 스스로 불법 광고물을 단속 또는 제거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충남 공주시는 학생들까지 불법 광고물 정비에 참여시켜 그 실적에 따라 사회봉사활동 시간을 부여하는 제도를 만들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지난해와 올해 연인원 873명을 참여시켜 2,778시간의 봉사활동 시간을 부여했다. 경북 구미시는 지난달 10일 시민, 민간 단체들로 구성된 ‘명예감시원제’를 도입, 오는 2008년까지 2년간 불법 광고물 감시활동에 투입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행정자치부는 올해 처음으로 ‘간판 시범거리 우수 지자체’를 선정, 표창하고 적극적인 예산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이달 중순까지 자치단체들의 시범사업계획을 접수해 심사를 거쳐 10개 지원 대상을 선정한 후 내년에 지자체별로 5억원씩 모두 5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행자부의 한 관계자는 “전국의 광고물 330만개 중 공식 통계상 약 20%가 불법 광고물로 분류된다”며 “단속뿐 아니라 거리 미관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라도 주민들의 참여를 기초로 한 거리간판 정비사업을 적극 뒷받침해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