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저축銀 업계 자본확충 박차

우량社 돼야 규제완화 수혜…후순위채 발행등 적극 나서

우량 저축은행에 대해 정부가 각종 규제를 완화할 계획을 추진하면서 저축은행들이 자본확충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정부는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일정기준을 충족시키는 저축은행에 대해 개인대출한도를 현행 3억원에서 5억원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이른바 우량 커트라인으로 예상되는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비율 8% 이상과 고정이하여신비율 8% 이하라는 ‘8ㆍ8 클럽’에 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27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한국저축은행은 28일부터 이틀간 후순위채를 150억원 규모로 발행한다. 이번 후순위채는 연금리 8.5%, 만기는 5년3개월이다. 한국저축은행은 8차례에 걸쳐 650억원의 후순위채를 발행한 바 있다. 후순위채권은 자금조달뿐 아니라 기본자본 50% 범위 내에서 보완자본으로 인정돼 BIS 비율을 높여주는 효과까지 있어 최근 저축은행들이 선호하는 자본확충방법이다. HK저축은행도 지난 1월과 2월 연달아 250억원 규모로 후순위채를 발행한 데 이어 15일에는 1,174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형태의 외자유치를 결정했다. HK저축은행은 극심한 경영권 분쟁으로 지난해 연말 기준 BIS자기자본비율이 5%에도 미치지 못했기 때문으로 BIS 자기자본비율을 12%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솔로몬저축은행도 3월 중순께 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로 자기자본을 900억원대에서 1,500억원대로 끌어올려 3월 말 기준 부산솔로몬저축은행과의 연결 BIS 자기자본비율이 8.3% 이상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