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첨단기술제품 개발과 선진국시장 공략에 더욱 힘쓰는 한편 정책적으로는사회간접자본 확충을 통해 수출산업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한국은행이 24일 내놓은 「우리나라의 수출구조 변화와 향후 과제」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10대 수출품목이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80년 35.2%에서 올해1∼9월중 49.6%로, 5대 수출품목의 비중은 20.5%에서 37.5%로 각각 상승하는 등 특정 품목 의존도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또 지난 80년대 연평균 2.8% 상승한 수출단가도 96년 1월∼99년 9월에는 연평균13.7% 떨어지는 하락세를 기록, 수출기업의 채산성 악화가 동시에 진행됐다.
특히 중화학공업제품의 수출단가는 96년이후 연평균 16.6% 하락하면서 채산성악화가 두드러졌다.
수출증가율 역시 지난 80년대 연평균 15.9%를 기록했으나 90년대들어선 연평균9% 증가에 머무는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다.
즉, 90년대 후반들어 우리나라 수출은 단가하락을 극복하기 위해 수출물량을 늘림으로써 채산성이 나빠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출구조속에 최대 수출시장인 미국시장의 비중이 지난 86년 40.0%에서올해는 20.2%로, 일본의 비중은 90년의 19.4%에서 10.4%로 각각 하락하면서 선진국시장에서 밀려나고 있다.
한은은 우리경제가 착실한 성장을 지속하려면 수출구조를 개선하는게 긴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고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첨단기술제품 개발 노력을 강화하고품질 경쟁력을 쌓으며 정부도 기술개발투자에 대한 재정지원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일부 신흥시장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이들 국가의 경제위기시 우리 수출이악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요 선진국 시장의 점유율을 높여나가야 한다고 한은은 덧붙였다.
온종훈기자JHOHN@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