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통신업계, 늘어나는 전기료 부담 "어쩌나"

고효율장비 도입등 대책마련 불구 역부족

고유가의 불길이 공공요금 인상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아지자 통신업계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하지만 전기 사용량은 갈수록 많아지는 반면 대책은 고효율 통신장비 도입 등 원론적인 수준을 넘지 못해 애를 태우고 있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통신업체들의 1ㆍ4분기 전기료 부담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최대 30%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SK텔레콤이 1ㆍ4분기에 수도광열비로 지출한 비용은 257억원에 달해 지난해 같은 기간의 196억원보다 31%나 증가했다. 이대로 간다면 연말까지 이 부문에서만 1,000억원을 훌쩍 넘는 비용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광열비에서 전기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업체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략 80%를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유선통신업체인 LG파워콤 역시 전력비가 31억원에서 38억원으로 늘어나 23%의 상승폭을 보였다. 하나로텔레콤과 LG데이콤의 전기ㆍ수도광열비도 각각 17%와 11%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통신업체의 전기료 부담이 이처럼 높아진 것은 IDC 증설과 기지국 확충에 나서면서 냉방 등 장비 보호를 위한 전기 사용량이 대폭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하나로텔레콤 IDC의 전기 사용량은 지난해 28% 늘어난 데 이어 올해도 1ㆍ4분기에만 전년보다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업체들은 1~2년 전부터 고효율 장비의 도입, 서버의 배치 조정, 직류 전원을 교류방식으로 전환하기 등 대책을 마련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만으로 전력 사용량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업체의 한 관계자는 “그 동안 통신분야가 고유가의 영향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지만 이제는 여유를 부리고만 있을 때가 아닌 것 같다”며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데 쉽지 만은 않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