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박근혜 정부 100일] 인사위에 외부인사 충원… 검증때 평판 적극 반영을

■ 박근혜 대통령 인사·소통 활로 트려면…

박근혜 정부 100일 중 가장 혹독한 평가를 받은 것은 '인사'다. 정부 출범 초기 잇따른 장ㆍ차관 내정자의 낙마 사태와 더불어 '1호 인사'인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 사건까지 터져 박 대통령의 '나 홀로' 인사는 여론의 융단폭격에 직면해야 했다. '윤창중 사태'로 공석이 된 홍보수석과 새 대변인 인선은 박 대통령 인사 스타일 변화의 시험대가 되고 있다.

박 대통령과 지난해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를 함께 이끈 이상돈 전 비대위원은 최근 공개 석상에서 "인수위원회 때부터 인사 실패가 너무 심했기 때문에 거기에서 헤매다가 100일이 됐다 이렇게 봐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박 대통령의 인사에 "문제가 많았다"는 비판은 내 편, 네 편이 없는 셈이다.


실제 대통령 당선인 시절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가 자진사퇴한 것을 시작으로 취임 이후 이중국적 논란 속에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와 황철주 중소기업청장 내정자 등 장ㆍ차관급 후보자가 줄줄이 낙마했다. 결국 새 정부 출범 100일도 안 돼 차관급 이상 공직자 14명이 중도사퇴하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윤 전 대변인의 사태는 특히 잠잠해지던 인사 파동을 다시 이슈화하며 공들여 쌓은 방미 성과도 무너뜨렸다.

박 대통령의 '나 홀로 인사'가 바뀌기 위한 방안으로는 청와대 인사위원회 외부인사 충원 등이 제기된다. 인사위는 허태열 비서실장을 중심으로 일부 수석들이 참여해 독립적 인사에 한계가 있고 박 대통령의 의중만 받든다는 비판이 적지 않다.


인사 검증시 평판을 중요시 여기는 방안도 거론된다. 미국의 경우 과거 7년 동안 거주지에서 알고 지냈던 이웃에게까지 공직 후보자에 대한 평판 조회를 진행한다. 박 대통령도 지난달 15일 언론사 정치부장단과의 만찬에서 "인사위원회에서도 조금 더 다면적으로 철저하게 검증하고 제도적으로 보완해서 조금 더 철저히 하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평판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제대로 평판을 반영한다면 획기적인 인사 (시스템 개혁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면서도 "평판을 반영한다고 해놓고 주변의 우호그룹 몇몇한테만 듣고 평판이라고 호도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