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자산재평가 수혜주 관심 커져

국제회계기준 조기도입 추진따라 대한항공·SK가스등 거론


내년에 적용될 예정이던 국제회계기준(IFRS)의 부분적 조기도입이 추진되면서 관련 수혜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조기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방안은 자산재평가 허용과 기능통화제 도입, 위험회피회계 적용 확대 등이 꼽힌다. 이와 관련, 유형자산 비중이 큰 기업과 환손실 관련 기업, 해운업, 외화부채 보유기업 등의 수혜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준환 한화증권 연구원은 16일 “유형자산의 재평가는 환손실 비중과 부채비율이 높은 상장사들이나 키코(KIKO) 손실 관련 기업들이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며 “토지와 유형자산 등을 시가화해 자기자본 상태와 부채비율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유형자산 재평가 규모가 큰 기업으로는 한국전력ㆍ롯데칠성ㆍ대성산업ㆍ경방이 꼽혔고 자산재평가가 기대되는 곳은 대한항공ㆍ아시아나항공ㆍSK가스ㆍCJ제일제당 등이 거론됐다. 강수연 대우증권 연구원도 “과거 구입한 토지와 건물 등 유형자산의 장부가(취득원가) 평가에서 현재 가치를 반영한 시가로 재평가함으로써 자산증가와 부채비율을 낮추는 효과를 볼 수 있다”며 “회계처리 기준 완화에 따른 관심주에 대한 점검이 필요할 때”라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달러를 기준으로 한 회계장부 작성도 허용될 경우 외화 관련 평가손실이 컸던 해운이나 항공ㆍ철강회사의 환율 관련 리스크 회피가 가능할 것으로 점쳐졌다. 강 연구원은 “자산재평가 관심종목의 체크포인트는 자산의 취득시기와 보유면적, 토지나 건물의 위치 등이 중요하다”며 “자산 취득시기가 오래됐고 수도권에 보유한 토지가 많고 과거 재평가를 했던 적이 없었던 기업일수록 수혜가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