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세계 각지의 정정불안 파장에 대비해야

중동 지역의 민주화 열기가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는 가운데 불똥이 중국으로 번지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중동 지역의 경우 튀니지와 이집트의 민주화 요구가 성공을 거둔 가운데 중국 베이징 시내에서도 수십 명이 민주화시위를 벌임에 따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인터넷 통제를 지시하는 등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G2로 부상한 중국이 만약 민주화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정정이 불안해질 경우 중국은 물론 세계경제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우리 경제는 이미 튀니지의 재스민 혁명으로 시작된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 민주화운동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해외건설 수주에 비상이 걸렸다. 건설업계는 올해 해외수주 목표를 800억달러로 잡고 있으나 중동에서의 시위격화에 따른 피습사태와 공사차질ㆍ발주취소 등의 어려움이 겹치면서 목표달성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중동 지역의 정정불안에 따라 국제유가도 크게 뛰고 있다. 우리나라 석유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두바이유 가격은 배럴당 90달러 후반을 유지하고 있으며 사태가 악화될 경우 100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석유수급은 물론 글로벌 경제 전반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의 민주화 시위가 찻잔 속 태풍으로 끝날지, 아니면 바람을 탈지에 따라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크게 달라질 것이다. 이집트 사태를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나라가 바로 중국이다. 중국 당국이 신문ㆍ방송은 물론 온라인에서도 이에 관한 보도를 철저히 차단하고 후 주석이 직접 나서 질서유지를 위한 8개항의 조치를 발표했지만 중국 젊은이들의 민주화 요구는 거세지고 있다. 중국 정부의 강력한 사회통제력에 비춰 현재로서는 정치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혁명과 함께 정보통제가 불가능해짐에 따라 지난 1980년대 톈안면 사태를 뛰어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없지 않다. 중동과 중국의 정치사회적 불안은 세계경제에 큰 악재일 뿐 아니라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서는 초미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정부는 물론 업계 차원에서도 사태추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만일의 경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을 강구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