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 철강社 반덤핑조치물고 물리기 긴장 고조
아시아 철강업계가 물고 물리는 반덤핑 조치를 취하거나 규제를 추진, 연초부터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을 비롯 일본, 중국, 타이완 등 동북아 4개국은 주요 철강제품에서 상대국에 대한 무역규제를 추진하고 있다. 포항제철이 일본 철강업체들에 대해 열연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소를 추진중인 가운데 중국과 타이완도 일본 및 한국산 탄소강에 대한 반덤핑 관세부과를 검토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주도하는 업체는 중국의 보산강철, 무한강철, 안산제철 등. 이들은 한ㆍ일업체들이 열연, 냉연 등 탄소강 제품을 중국에 저가수출, 피해를 보고 있다며 중국 정부에 적절한 조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타이완 차이나스틸도 최근 NKK등 일본산 철강 제품의 저가 수출이 문제가 있다며 무역제제 조치를 강조하고 있다.
국내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조치는 주로 일본산 제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국내 업계에도 불똥이 튈 것"으로 보고 적극 대응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지난번 중국의 스텐레스강에 대한 확정관세율 부과조치보다 국내외 무역 및 산업에 미치는 파장이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된다.
포철은 현재 중국에 연간 냉연 60만톤, 열연 33만톤을 수출하고 있는 데 이는 전체 수출물량의 절반이 넘는다. 타이완에는 열연 9만4,000톤, 냉연 3만6,000톤을 수출하고 있으며, 동부제강, 연합철강 등 냉연업체들도 최근 중국에 대한 수출을 크게 늘리고 있다. 반면 스텐레스강은 포철의 6,000톤 등 전체 업계의 수출 물량이 연간 13만톤 수준에 불과하다.
한편 최근 아시아지역 철강싸움은 일본업체들의 과잉생산에 따른 저가 수출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히고 있다. 일본은 조강 기준으로 99년 8,200만톤, 2000년 9,400만톤으로 크게 늘려 공급과잉을 초래했다.
일본 5대 고로사의 수출은 99년 2,000만톤에서 2000년 2,500만톤으로 급증했고, 이 가운데 아시아 시장 의존도가 70~80%에 이르고 있다.
강동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