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지주사 전환株 주가 올랐다

UBS證 "9개社 설립전후 시총등 급증"<br>두산·금호산업등 전환추진 종목 관심을



SK의 지주회사 전환을 계기로 지주회사 관련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지주사 전환시 주주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볼 때 향후 지주회사 전환이 예상되는 종목에 대해서는 선취매에 나서는 전략이 필요할 전망이다. 24일 UBS증권에 따르면 온미디어ㆍ태평양ㆍ대상ㆍLGㆍ농심 등 시가총액이 1,500억원 이상인 지주회사 9개사를 대상으로 지주회사 설립 전후 1년간 주가 움직임을 조사한 결과 코스피지수 수익률을 상회하고 시가총액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UBS증권은 이들 9개사의 지주회사 및 관계회사의 설립 전 1년부터 설립일까지의 평균 시가총액 증가율은 45%였다고 밝혔다. 또 주가는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 4%에 비해 41%포인트의 초과 수익을 기록했다. 특히 대상의 경우 시가총액이 무려 202%나 증가했으며 농심은 47% 늘었다. 지주회사 설립 후 1년간 9개사의 평균 시가총액 증가율은 43%에 달했으며 코스피지수 대비 초과 수익도 9%포인트나 됐다. 개별 종목별로는 세아홀딩스가 119%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고 LG와 농심도 시가총액이 각각 81%, 61%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했다. 장영우 UBS 한국 리서치 대표는 “지주회사가 설립되고 난 후 12개월보다 설립 전 12개월간 기업가치가 훨씬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또 지주회사 설립 6개월 이후보다는 이전 6개월 시점에서 기업가치가 더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지주회사 구조개편에 대한 기대심리가 주가에 반영됐기 때문”이라며 “지주회사가 설립되면 각 기업별로 핵심 역량에 집중할 수 있다는 이점으로 인해 기업가치가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또 지주회사 설립을 통해 소유구조가 보다 명확해진다는 점, 법에 의해 부채비율을 100%로 낮추기 위해 자산을 매각하고 소유주 일가가 개인 자금을 이용해 지분을 늘리는 점 등도 주주가치를 증대시키는 긍정적 요인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배당수익의 60~100%에 대해 비과세 혜택이 주어지는 점도 지주회사 설립에 따라 창출되는 가치라고 UBS증권은 설명했다. 이런 이점에 비춰볼 때 지주회사로 전환할 준비를 하고 있는 두산ㆍ금호산업ㆍ웅진씽크빅 등과 가까운 시일 내에 지주사 전환 발표 가능성이 높은 CJㆍ한화 등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또 코오롱ㆍ한솔제지 등도 지주회사 전환 가능성이 있다고 UBS증권은 내다봤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