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금호, 핵심계열사 경영권 어디로… '촉각'

금호산업·아시아나 경영권 완전상실땐 사실상 그룹 해체<br>매각대상 계열사등은 노조 반발로 험로 예고

금호아시아나 채권단이 금호산업에서 아시아나항공으로 이어지는 금호의 핵심계열사에 대한 지배권 확보에 나서면서 이들 계열사에 대한 실질적인 경영권 행사 주체가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지난달 채권단 발표에서는 박삼구 명예회장이 금호타이어를, 박찬구 전 화학부문회장이 금호석유화학을 나누어 맡기로 했지만 금호산업과 아시아나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 경영 형태가 거론되지 않았다. 금호아시아나는 일단은 채권단과 FI 측이 조율에 성공, 워크아웃 등 그룹 구조조정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점은 환영하고 있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 주도로 실사작업이 마무리되고 추가자금 지원 등이 원활하게 이뤄져 그룹 회생의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주력인 아시아나항공과 이 회사의 지주회사격인 금호산업에 대한 경영권을 완전히 상실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우려하고 있다. 그룹의 한 관계자는 "그룹의 상징인 아시아나항공 등이 채권단의 직접 경영 하에 놓인다면 이는 그룹 해체와 다름 없다"고 했다. 특히 금호그룹이 지난해 말 금호산업에서 금호석유화학으로 이동시켜 놓은 아시아나 지분을 원상 복구키로 하면서 금호산업 경영권에 대한 그룹 안팎의 관심이 더욱 높아진 것도 사실이다. 오너 일가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이 거론되지만 시장에서는 결국 채권단이 금호산업-아시나아항공-대한통운으로 이어지는 핵심 계열사 라인을 '패키지'로 관리하면서 추후 매각을 추진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업황이 살아나는데다 인허가 등 복잡한 사업절차와 글로벌 인프라를 고려하면 시장에서 즉각 대어급 매물로 떠오를 수 있다. 다만 금호는 이달 말로 예정된 구조조정 양해각서(MOU) 체결까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금호의 다른 관계자는 "계열사 경영 형태를 포함한 모든 조정안은 이달 중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며 "그 전까지는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했다. 재계에서는 금융권이 대형 항공사 등을 직접 경영하기 어려운 만큼 박 명예회장 등 오너 일가에게 간접적으로 경영권 일부를 보장해줄 가능성 또한 배제하지 않고 있다. 한편 대우건설과 금호타이어 등 매각 및 워크아웃 대상 계열사의 노조의 반발도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금호타이어 노조는 정리해고 명단을 통보 받자 집행부 단식투쟁에 나서는 등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험로가 예고되고 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와 관련 "금호타이어 노조가 구조조정 동의서를 제출하지 않아 채권단이 1,000억원의 지원자금을 집행하지 못하고 있다"며 "타이밍을 놓치면 쌍용차 노조와 똑 같은 형태가 반복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우건설 노조도 회사 매각대상 선정과정 등에 반발하면서 산업은행 등 채권단 동반 책임론과 오너 일가의 완전 퇴진 등을 주장하고 있다. 여기에 지역단체와 정치권까지 '갑론을박'에 뛰어들고 있어 금호아시아나 구조조정은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