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쌍용차 타결 이후] 정부·채권단 대책은

구조조정자금 1,000억지원 검토<br>공동관리인 정상화 방안 분석후 채권단 출자전환·3자 매각 추진

정부와 채권단이 쌍용자동차에 1,000억원 규모의 구조조정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또 채권단은 쌍용차 공동관리인이 제시하는 정상화 방안을 분석한 뒤 채권단의 출자전환 및 제3자 매각을 추진하기로 했다. 7일 채권단의 한 고위관계자는 “쌍용차 사측이 희망퇴직자에 대한 퇴직금 등 구조조정 비용으로 1,000억원가량을 요청해왔다”며 “채권단 회의를 갖고 구조조정 자금지원 방법과 시기를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한 관계자도 “쌍용차 독자생존이 불투명하지만 희망퇴직자와 정리해고자에 대한 퇴직금ㆍ위로금 등 구조조정 자금은 지원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며 “채권단과 긍정적인 방향에서 이 문제를 협의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채권단과 정부는 쌍용차 운영자금 지원에는 신중을 기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77일간의 파업사태로 쌍용차 청산가치가 잔존가치보다 커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회생계획안도 수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영자금을 무턱대고 지원할 수는 없다”며 “다음달 15일 회사 측이 제시하는 회생계획안을 보고 결정을 내리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산업은행의 한 고위관계자도 “정상화 가능성을 확신할 수 없고 담보도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1,500억원가량의 운영자금을 지원할 수는 없다”며 “쌍용차가 제시하는 정상화 방안을 검토한 후 신규자금 지원 및 출자전환, 제3자 매각 등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쌍용차가 독자생존 방안도 함께 모색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김성조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제3자 매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쌍용차 문제와 관련해 “독자생존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자동차산업 경영환경이 좋지 않고 쌍용차 생산능력에 대한 회의가 더해져 과연 쌍용차의 새로운 대주주가 나타날 수 있을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