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예금 감소세로 돌아서

올들어 처음… 10월 저축성 1조 줄어지난 3ㆍ4분기까지 폭증하던 은행 예금이 10월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금리가 바닥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자소득이 미미한 은행 정기예금을 기피하거나 보류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4일 한국은행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 10월 한달간 은행 요구불 예금의 경우 9월에 비해 증감이 거의 없었지만 저축성 예금은 1조원 정도 줄어들어 올들어 처음 감소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은행권의 자금 이탈현상은 9월 한달간 14조원(저축성 예금 9조원) 가량의 자금이 예금으로 유입된 것과 비교해볼 때 급격한 변화라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한국은행의 한 관계자는 "9월 말이 주말이었던 관계로 법인세 등의 세금이 10월 초로 이연, 약 3조~4조원 정도가 빠져나가는 등의 특수요인이 있었다"며 "그러나 이것 못지 않게 정기예금이 둔화되고 있는 것도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별로는 대부분 은행들의 저축성 예금이 감소한 가운데 주택은행이 9월 말 45조9,568억원에서 10월 말 45조4,520억원으로 5,000억원 가량이 줄어들었고 한빛은행 역시 9월 말 40조7,059에서 2,500억원 가량이 줄어든 40조4,770억원을 기록했다. 이들 은행은 9월의 경우 저축성 예금만 각각 1조원 가량 증가했었다. 신한은행의 저축성 예금도 9월 25조1,006억원에서 10월 24조8,752억원을 기록, 2,000억원이 넘게 감소했고 외환은행도 9월 말보다 5,000억원 가량이 줄어든 21조6,754억원을 기록했다. 평화은행 저축성 예금도 4조74억원에서 3조8,996억원으로 줄어들었다. 국민은행의 경우 저축성 예금은 10월 한달 동안 8,000억원이 증가했지만 요구불 예금에서 빠져 전체로는 감소세를 기록했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금리가 바닥 수준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서둘러 정기예금에 가입하지 않으려는 움직임"이라며 "당분간 예금 감소세는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주식형 뮤추얼 펀드가 약간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MMF나 고객예탁금쪽에서도 마찬가지로 돈이 빠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돈이 갈 곳을 못 찾고 멈춰 있는 듯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최윤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