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5월 28일] 고무적인 유통업계의 상생협력 분위기

대형유통업체들이 중소상인들과의 상생협력방안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기업형슈퍼마켓(SSM)을 둘러싸고 빚어지고 있는 갈등을 푸는 돌파구가 될지 모른다는 기대를 낳고 있다. 신세계 이마트는 중소기업청과 손잡고 중소 슈퍼마켓 상인들에게 자체 매입상품을 저가에 공급해주기로 했고 롯데슈퍼는 가맹점포로부터 매출액의 1%만 로열티를 받는 새로운 개념의 가맹사업에 나서기로 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상생방안이 속속 선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체인사업협동조합 등 중소상인들이 대기업의 구매대행 방안 등에 적극 참여의사를 보이고 있어 대형유통업체와 지역 상공인 간의 상생 모델로 정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대형유통업체들이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수단으로 지난해부터 대형 매장 개설을 본격 추진하면서 지역 중소슈퍼업자, 전통시장 상인들을 중심으로 "생존권을 위협한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정부가 나섰으나 마땅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해 SSM 갈등은 우리 사회의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치권에서는 SSM 신규점포 개설 등을 강력 규제하는 내용을 담은 유통산업발전법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시장원칙에 맞지 않을 뿐 아니라 대형유통업체들로부터 큰 저항을 사고 있다. 대기업들의 상생협력 움직임이 큰 의미를 갖는 것도 이 때문이다. 대형유통업체와 중소상인들이 그동안의 앙금을 풀고 문제를 풀어가기 위해서는 먼저 사정이 나은 대형유통업체들이 한발 양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소유통업체들도 반발만 할 것이 아니라 상생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동네슈퍼들이 신세계 이마트와의 이번 협약에 적극 호응해 앞으로 3년 내 1만개 이상의 점포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은 상생의 길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모처럼 형성된 상생협력 분위기를 확대해나가기 위해 이마트는 이런 분위기에 맞춰 공동구매ㆍ물품보관ㆍ배송과 관련한 비용을 원가 정도만 책정, 중소상인들이 보다 저렴한 가격에 물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신세계 이마트, 롯데슈퍼 등이 중심이 돼 추진하고 있는 상생방안이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중소상인들 역시 서비스 질 개선 등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자구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