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영업선 확보가 더 시급…" 中企 대부분 대응 미흡

고질적인 인력부족과 경영난에 시달리는 기업들이 대다수인 중소기업계에서 자유무역협정(FTA) 관련 사안에 철저하게 대응하는 곳은 찾아보기 어렵다. 대외거래가 많은 기업들도 중요성은 인지하면서도 담당직원을 둘 만한 여유가 없어 FTA 대응은 사실상 뒷전이다. 해외시장 개척을 주요 경영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는 매출 2,000억원 규모의 중견기업 N사의 한 관계자는 "FTA 대응보다는 영업선 확보가 더 시급하다"며 "솔직히 FTA까지 신경 쓸 겨를이 없다"고 털어놓았다. 소규모 기업은 더 말할 것도 없다. 중소기업들 중에는 자사의 거래시장이 FTA 체결국인지조차 모르겠다는 반응도 상당수에 달한다. 중소기업중앙회의 한 관계자는 "중소기업들은 FTA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를 모르고 있다"며 "지난해 정부 요청으로 FTA에 대한 기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간담회 자리를 준비했는데 참석할 만한 기업을 찾는 데도 적잖이 애를 먹었다"고 말했다. 정부에 의견을 제기할 만큼 FTA를 숙지한 중소기업 자체가 보기 드물다는 얘기다. 특히 FTA 체결국에 대한 관세인하 혜택을 받기 위해 필요한 서류발급 등 복잡한 절차와 관련, 중소기업들은 속수무책이다. 염료업계의 한 관계자는 "베트남과 칠레ㆍ인도 등 각지의 원산지 증명이 전부 다르다 보니 원산지 증명을 받는 데 애로가 많다"며 "대기업이야 전담인력을 투입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겠지만 중소기업들은 서류발급을 포기하고 종전대로 관세를 무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다만 중소기업의 FTA 대응은 전적으로 경영자의 의지에 달렸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중소화학업체인 J사 대표는 "종업원은 16명에 불과하지만 사장부터 FTA 관련 교육을 다섯 번씩 받고 간부급에 대해서도 책임자를 지정하는 등 철저한 대응을 하고 있다"며 "중요한 것은 경영자의 의지"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