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파산조치 유보/IMF 철야 재협상/채권시장 개방 등 진통

◎부실종금 7∼8개 정리/오늘 결과발표/IMF, 정책금융 폐지요구정부는 국제통화기금(IMF)의 국내 부실종금사 폐쇄 요구를 대폭 수용, 일단 7∼8개 종금사를 연내에 정리하되 경제충격이나 사회적 파장이 큰 은행에 대해서는 급격한 파산조치를 유보키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부실은행에 대해 인수·합병 방식에 따른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하며 금융기관 구조조정 시한도 당초의 내년 6월에서 3개월정도 앞당겨 조기 시행키로 했다. 임창열 부총리를 비롯한 정부대표단은 1일 밤 서울 힐튼호텔에서 IMF실무협의단과 심야 재협상을 갖고 이같은 내용의 부실금융기관 구조조정 방안에 잠정합의했다. 정부는 2일 상오 청와대에서 김영삼 대통령이 주재하는 비상경제대책 자문위원회와 임시국무회의를 잇달아 열고 IMF 지원자금 이행조건에 관한 양해각서를 심의·의결한 뒤 임 부총리가 대국민담화 형식으로 협상결과를 공식 발표한다. 1일 밤 심야 재협상에서 IMF측은 12개 부실종금사를 즉각 폐쇄하고 1∼2개 은행에 대해서도 유사한 조치를 취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IMF측은 또 ▲정책금융 폐지 ▲국내 어음제도 개선 ▲단기채권시장 조기 개방 ▲수입선다변화 폐지 ▲재벌의 상호지급보증 폐지등을 요구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금융기관 구조조정에 관한 문제는 사실상 합의를 끝냈다』며 『종금사 정리는 IMF측의 요구를 상당히 수용하는 대신 은행정리는 우리가 제시한 점진적인 방식으로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최근 외환업무를 은행에 넘기도록 종용받은 8개 종금사를 중심으로 이른 시일내에 청산작업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내년 6월과 9월까지로 계획된 은행 및 다른 금융기관들에 대한 구조조정 시기도 당초보다 3∼6개월 가량 앞당겨질 전망이다. 이에앞서 임 부총리는 1일 상오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에 체재중인 캉드쉬 IMF총재와 전화접촉을 갖고 IMF실무협의단과의 잠정합의안을 놓고 최종타결을 시도했으나 불발, 이날 하오 힐튼호텔에서 심야 재협상에 들어갔다.<김준수·최창환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