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연기·공주에 40~50만명 자족도시 건설"

與·野 신행정수도 대안 원칙 합의

여야가 신행정수도 후속대안으로 연기ㆍ공주지역 대상부지 2,000여만평에 행정기능과 기업도시 기능을 함께 갖춘 40만∼50만명 규모의 자족도시를 건설한다는 원칙에 사실상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신행정수도특위 김한길 위원장은 7일 신행정수도 후속 대안과 관련, “대상지역을 연기ㆍ공주로 하고 40만∼50만명 규모의 자족도시를 건설한다는데 여야가 대체로 동의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열린우리당 영등포 중앙당사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 참석해 “5~6일 특위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고 여야가 후속대안에 대한 몇 가지 원칙에 동의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정부는 행정특별시ㆍ행정중심도시ㆍ교육과학연구도시 등 세가지 대안을 제안했는데 특위에서 토론해보니 제목만 다르고 내용에 있어서는 유사했다”며 “한나라당이 내놓은 ‘다기능 복합도시’안도 행정기능을 제외하는 내용은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다음주 중 3개안을 (단일안으로) 압축해 달라는 제안을 정부측에서 수용했다”며 “후속대책을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다음달 중 특별법 제정이 마무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특위 소속 한나라당 최경환 의원도 “행정특별시는 위헌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도 이 안을 내심 고집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큰 틀에서 의견이 좁혀졌고 기업유치ㆍ대학이전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복합다기능 도시성격에 행정기관 이전규모를 얼마로 할 지가 이견으로 남아있다”고 전했다. 최 의원은 또 후속대안의 입법화와 관련, “현재로서는 입법화의 필요성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대안도시의 성격에 대해 여야가 명확히 합의해야 특별법 제정 여부를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