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통풍환자, 등 푸른 생선 섭취 주의

통풍환자, 임산부의 경우 몸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고등어 등 등푸른 생선 섭취에 주의가 필요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생선 소비가 늘어나는 가을철을 맞아 등푸른생선의 올바른 섭취를 위한 영양 및 안전정보를 제공한다고 21일 밝혔다. 고등어, 삼치, 꽁치, 참치, 다랑어 등의 등푸른 생선에는 오메가-3 등 불포화지방산과 비타민, 무기질 등 건강에 좋은 성분이 많이 함유됐지만 임산부나 특정 질환자들이 섭취할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식약청의 설명이다. 통풍환자의 경우에는 등푸른생선 섭취 때 체내 요산 농도가 증가해 통풍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될 수 있으면 섭취를 피해야 한다. 또한 참치, 황새치 등 심해성 어류에는 메틸수은 함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임산부나 가임여성, 수유모, 유아 등은 주 1회 이하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또 신선하지 않은 등푸른생선은 히스타민(histamine)을 생성해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보관과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히스타민은 가열해도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냉장 또는 냉동상태로 생선을 보관하되 신선하지 않은 생선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조리 전 신선한 생선을 3시간 정도 소금물에 담근 뒤 식초물에 헹구면 히스타민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등푸른생선과 궁합이 맞는 음식으로는 두부와 무를 꼽을 수 있다. 두부와 생선은 서로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해주며, 특히 두부에 함유된 철분은 생선의 비타민D와 결합해 체내 흡수율이 높아진다. 무에 함유된 비타민C와 소화효소는 생선에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하고 향미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식약청블로그(blog.daum.net/kfdazzangor), 푸드윈도(blog.naver.com/foodwindow) 등에서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식약청은 식품별 영양정보 및 오염가능 유해물질 정보를 향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