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금융회사들이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운영해오던 한국 데스크를 서울로 이전하고 있다. 주식 분야에서는 이미 국내 진출이 활발한 이들은 신규업무 개방이 이뤄지고 있는 외환과 채권 분야에 집중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국제금융센터가 작성한 ‘외국계 금융회사 코리아 데스크의 서울 이전 사례 증가’ 보고서에 따르면 BNP파리바는 오는 6월께 외화채권 영업인력을 국내로 이전할 예정이며 골드만삭스도 현재 일본에서 하고 있는 원화채권 거래를 6월부터 국내에서 취급할 계획이다. 노무라는 장외파생상품 허가취득을 준비 중이며 지난 1월에는 홍콩에 있던 외화채권 영업담당 일부를 서울로 이전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ABN암로와 리먼브러더스가 외화채권 영업인력을 홍콩에서 국내로 옮겼고 모건스탠리도 원ㆍ달러 파생상품 거래를 시작했다. 5월에 진출한 영국 프레본야마니는 서울지점에 20여명의 외국환 중개인력을 두고 국내 영업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 자산운용산업이 급성장하면서 해외 자산운용사의 한국 이전은 더욱 두드러진다. UBS자산운용은 대투운용의 경영권을 인수하기 위해 하나금융지주와 막바지 협상을 벌이고 있고 JP모건은 자산운용사 설립을 위해 지난해 12월 금융감독원을 방문했다. 이밖에 인덱스 투자로 유명한 뱅가드그룹과 모건스탠리ㆍ애버딘자산운용이 한국 내 사무소 개설을 추진하고 있다. 외국계의 서울 이전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한국의 채권시장이 일본을 제외하고 아시아 최대인데다 앞으로 원화 채권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밝게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가 동북아 금융허브 구축을 위해 각종 금융규제를 풀고 있는 점도 외국계의 발길을 서울로 돌리게 하고 있다. 다만 외국계 금융회사들은 서울 이전이 더욱 가속화되기 위해서는 ▦외환 관련(단기자금시장 미발달, 보수적 신용한도 부여, 중개업무 건별 허가, 실시간 환율 정보 차단) ▦채권 관련(이자소득 원천징수에 따른 번잡성, RPㆍ스와프시장 미발달, 외화채권 영업기능 제한) ▦주식 관련(외국인 투자등록제도에 대한 불만, 국내 상장사 영문공시 미흡) 등에 대한 문제점이 해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한덕수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최근 간부회의에서 외국계 금융회사들의 애로사항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국제금융센터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지향하고 있는 동북아 금융허브 구축을 위해서는 선진화된 금융 하부구조 구축은 물론 외국인들의 국내에서의 생활환경 기반조성이 시급하다”며 “한국 관련 정보도 적극적으로 제공해 외국 금융회사들과의 관계를 협조적으로 적극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