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자본시장조사단, 신종 주가조작에 칼 뺐다

출범 1년 맞아 알고리즘 매매 등 집중단속

출범 1주년을 맞은 자본시장조사단이 알고리즘 매매 등 신종 주가조작에 대한 기획 조사에 나선다.


16일 금융위원회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 자본시장조사단은 알고리즘 매매와 현·선물 연계 주가조작 등 신종 불공정거래 혐의에 대한 기획조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자본시장조사단은 박근혜 대통령의 주가조작 엄단 지시로 지난해 9월17일 금융위 사무처장 직속으로 설치됐으며 한국거래소와 금융감독원·검찰·융위 등의 인력으로 구성돼 있다.

관련기사



금융당국이 집중 조사할 알고리즘 매매란 미리 설정한 주가나 정보 등 매매 조건(알고리즘)에 따라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거래를 하는 것이다. 남들보다 1초라도 먼저 수백·수천건의 주문을 내고 가장 매매 등으로 주가조작에 나설 수 있어 개인 투자자는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금융당국은 이미 알고리즘 매매 단속을 강화해왔다. 금융위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올해 5월 미국계 초단타 매매 전문업체가 알고리즘 매매기법을 이용해 코스피200 선물 종목에 대해 불공정 거래를 한 혐의를 적발하고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금융위는 조사 강화를 위해 5월 국제증권기구(IOSCO)의 불공정거래 조사 관련 집행위원회에 가입해 중국과 홍콩 등 해외 조사당국과 정보 협력을 하기로 했다. 자본시장조사단이 올해 초 실적 정보를 기관투자가에 미리 흘린 증권사 직원을 적발했던 성과가 있었던 만큼 알고리즘 매매 조사도 큰 결실을 맺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알고리즘 매매 등 신종 불공정거래의 조사 결과는 이르면 올해 말, 늦어도 내년 초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