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가공식품용 쌀 소비량 2012년까지 2배 늘려

농림부 활성화 방안 마련

정부가 남아도는 쌀 소비를 늘리고 수입에 의존하는 밀 수요를 대체하기 위한 쌀 가공식품 육성방안을 마련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오는 2012년까지 가공식품용 쌀 소비량을 두배로 늘리고 관련 산업 규모를 현재 1조원에서 2조원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5일 공공비축 재고미를 가공용으로 공급하고 외식업체와 연계해 수요를 확대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쌀 가공식품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쌀떡볶이ㆍ쌀국수ㆍ즉석밥ㆍ쌀과자ㆍ쌀술ㆍ쌀가루ㆍ프리믹스 등을 중심으로 쌀 가공식품 소비를 늘려 가공용 쌀 수요를 현재 22만톤에서 2012년 44만톤으로 늘린다는 목표다. 이 방안에 따라 쌀 가공식품 산업이 확대될 경우 밀 수입대체로 연간 550억원(10톤)의 수입 비용이 절감되고 가공업체 입장에서도 연간 총 650억원 규모의 원가 부담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이 농식품부의 분석이다. 또 남아도는 의무수입(MMA) 쌀과 공공비축미 재고가 적정수준으로 낮아져 재정지출이 660억원가량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농식품부는 덧붙였다. 식품산업과 쌀 산업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정부는 우선 식품가공업체가 가공용 쌀을 수매하거나 계약재배할 경우 매입자금을 지원해주고 외식업체를 대상으로 쌀면 등을 활용한 메뉴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 국산 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를 감안해 2~3년 이상 장기 보관한 공공비축미 재고는 일반 국산쌀 가격의 70% 수준의 낮은 가격에 가공용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아울러 쌀가루 전문 제분업체를 육성하고 밀가루 제품의 대체효과가 큰 쌀국수용 수입 쌀 할인 공급을 2010년까지 유지하기로 했다. 우리나라의 쌀 소비량은 2002년 415만톤에서 지난해 현재 379만톤으로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한편 MMA 쌀 수입 물량과 공공비축미 재고 관리를 위한 재정적자가 늘어나고 있어 쌀 수요 창출의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