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인천 남동 산업단지등 5곳 '혁신 클러스터'로 추가지정

생산기능 외에 산ㆍ학ㆍ연 연계를 통한 연구개발(R&D) 등을 보강해 산업혁신의 거점기능을 수행할 ‘혁신 클러스터’로 인천 남동산업단지 등 5개 지역이 추가 지정된다. 김영주 산업자원부 장관은 27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혁신 클러스터 정책보고회’에서 기존 7개의 혁신 클러스터 외에 5개 지역을 추가 지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산업단지 혁신 클러스터 확대 및 발전전략’을 보고했다. 새로 지정되는 지역은 인천 남동단지와 부산 명지ㆍ녹산단지, 대구 성서단지와 전남 대불단지, 충북 오창단지 등이다. 혁신 클러스터는 해당 클러스터가 지향하는 비전을 중심으로 주변 대학과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협력사업, 기술인력 양성을 토대로 R&D 역량 강화가 추진되는 산업단지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산업단지공단을 통한 출연ㆍ보조 등의 재정지원도 이뤄진다. 5개 단지 가운데 인천 남동단지는 송도 경제특구와 연계한 첨단기업 유치와 맞춤형 R&D 지원 등으로 오는 2010년 생산액 15조원의 부품ㆍ소재단지로 육성되며 명지ㆍ녹산단지는 창원~거제~울산을 연결하는 동남권 기계ㆍ조선산업벨트의 부품공급 기지화로 지난해 5조2,000억원 규모인 생산액이 2010년 7조7,000억원까지 늘어나게 된다. 전남 대불단지는 해양ㆍ레저장비 고부가가치화와 혁신역량 강화를 통해 2010년까지 생산액 2조원 규모인 세계 1위의 중형 조선산업단지로 육성된다. 성서단지와 오창단지는 각각 메카트로닉스와 전자정보산업을 주도할 혁신 클러스터로 발전하게 된다. 현재 혁신 클러스터로 지정된 곳은 창원(기계), 울산(자동차), 구미(전자), 반월ㆍ시화(부품ㆍ소재), 광주(광산업), 군산(기계ㆍ자동차부품), 원주(의료기기) 등 7곳이며 정부는 그간 전국 주요 산업단지의 규모와 성장 가능성 등을 검토해 추가 지정을 추진해왔다. 산자부는 “기존 7개 클러스터와 추가될 5개 클러스터의 산업기반을 조속히 구축해 전국적 차원의 혁신 클러스터 성장기반을 확립하고 혁신성과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