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애니콜 2분기 이익률 하락은 1분기 돈줄 조인탓"

실제영업이익률은 16.7%…노키아ㆍ모토롤러보다 높아

‘삼성전자 실적부진은 애니콜 탓?’ ‘애니콜’ 휴대폰을 담당하는 삼성전자 정보통신 총괄이 지난 상반기 사상 최대의 실적을 거두고도 ‘고개숙인 남자’가 됐다. 2ㆍ4분기 휴대폰 영업이익률이 전분기에 비해 10% 포인트나 떨어지면서 삼성전자 실적부진의 주범으로 눈총을 받았기 때문. 그렇다면 잘 나가는 줄로만 알았던 삼성전자의 휴대폰 사업이 정말 주춤했던 걸까.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다’가 정답이다. 삼성전자 정보통신 총괄은 상반기 전세계에 총 4,300만대의 휴대폰을 공급해 지난해 같은 기간의 2,500만대보다 무려 72%나 늘어난 실적을 거뒀다. 2ㆍ4분기만 따져봐도 2,270만대로 전년동기(1,200만대)보다 89%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매출액도 상반기 61%, 2ㆍ4분기 65%의 가파른 성장곡선을 그렸다. 외형을 봐서는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는’ 실적인 셈이다. 영업이익률도 반기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세계 1위에 올라섰다. 삼성전자의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21.4%로 경쟁사인 노키아(16.7%), 모토롤러(9.9%)를 멀찌감치 따돌렸다. 그러나 문제는 2ㆍ4분기였다. 이 기간 삼성전자의 영업이익률은 1ㆍ4분기 26.1%보다 10% 포인트나 떨어진 16.7%에 그쳤다. 가격경쟁이 치열한 북미지역에서의 공급단가 인하와 2ㆍ4분기에 집중된 올림픽 마케팅 비용 등이 원인이었다. 삼성전자의 한 관계자는 “1ㆍ4분기엔 신제품 출시가 적었고 마케팅 비용이 집중될 2ㆍ4분기에 대비해 돈줄을 풀지 않았기 때문에 이익률이 비정상적으로 높았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2ㆍ4분기 영업이익률 16.7%는 노키아(13.0%), 모토롤러(10.1%)보다 월등한 성적이다. 세계 휴대폰 시장의 바로미터인 북미시장의 상황을 보면 이는 더욱 명확해진다. 삼성전자는 상반기 북미시장에서 1,250만여대의 휴대폰을 팔아 이전까지 큰 격차를 보였던 모토롤러ㆍ노키아를 단숨에 따라잡았다. 1,250만대는 지난해 연간 공급량과 엇비슷한 실적이다. 가격경쟁의 여파로 삼성전자의 이익률은 다소 줄었지만 그 대신 점유율과 매출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경쟁사들은 점유율과 이익률 면에서 상대적 타격을 입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벤츠가 저가의 중소형 자동차를 출시하더라도 다른 회사의 중소형 자동차와 비교하면 여전히 값비싼 고급제품”이라며 “시장의 본질적인 경쟁상황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